소개글
"한국사 사범,교육 관련 심화탐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한국사 사범의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1.3. 교육 관련 심화탐구
2. 본론
2.1. 태권도 교육과정
2.2. 태권도장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2.3. 태권도장 교육과정에 대한 사범의 지도전략
3. 결론
3.1. 결론
3.2.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태권도장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지도전략
태권도는 오랜 세월 많은 사람들에게 인정받고 사랑받는 한국을 대표하는 스포츠 종목 중 하나이다. 태권도는 그 자체로서 신체와 정신을 건강하게 하며, 사회성과 인성을 기를 수 있고, 올바른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게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태권도장은 오랜 세월 무술을 연마하는 도장으로 기능하다가, 사교육의 발전으로 학원으로 성장하며 사교육 시장에서 예체능 쪽의 큰 테마로 자리잡게 되어, 이제는 태권도장의 교육과정에 대해 고찰하고 이에 대해 고민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태권도장에서는 주로 등급을 획득하기 위한 교육과정이 가장 크게 존재하며 띠급별로 이를 획득하기 위한 연습과정 및 연마가 필요하지만 그 외에도 학교 수업의 정규교육과정에서 시행하는 것들의 보충적인 것과 태권도 자체에 흥미를 가지고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설에 대한 필요성이 언급되어 왔다. 따라서 태권도장의 기본 교육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조사하고, 이에 대한 분석과 문제점 도출을 통해 태권도 교육과정에 대한 사범의 지도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1.2. 한국사 사범의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한국사 사범의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은 기존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먼저, 태권도장 지도자들은 태권도의 중요한 기본동작을 연결하여 습득할 수 있는 기술체계라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수련생들에게 반복 연습을 강요하는 지도 방법은 지루한 기술체계일 수 있다고 지적하였다. 품새 수련을 통해 신체 기능을 높이고 유연성, 근력, 순발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지만, 태권도의 대표 정신이 모두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반복적인 지도로 인해 학생들의 흥미가 상실될 염려가 있다.
또한 태권도장에서 이론에 관한 지도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주로 동작 위주의 수업이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새로운 동작에 대한 거부감을 고려하여 품새 지도를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더불어 태권도장 사범은 올바른 동작과 가치를 지도하고자 노력해야 하며 이에 대한 근거가 필요하므로 기준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태권도장은 더 이상 도장에 머물지 않고 사교육기관으로 운영되고 있으므로, 시장...
참고 자료
경기도태권도협회(2020). KTA 태권도장 표준교육과정.
안진영, 안용규(2014). 품새지도 인식을 통한 태권도장의 발전방향 탐색,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32(1), 37-44.
정성호, 김창우, 이광호(2009). 신자유주의에 따른 태권도장 교육관의 변화, 한국체율철학회지, 17(4), 113-129.
정재환, 김혜경(2008). 태권도장 지도자의 유형에 대한 연구, 한국체육철학회지, 16(4), 241-254.
조상우(2011). 전문 품새 지도자의 품새 경기화에 대한 인식과 지도방법.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태권도대학원, 경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