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코다이, 달크로즈, 오르프, 스즈키, 고든 중 2명의 이론가를 골라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관련 음악 활동을 예로 들어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달크로즈
2.1.1. 쟈크 달크로즈의 생애 및 교육 철학
2.1.2. 쟈크 달크로즈의 음악교수법
2.1.3. 쟈크 달크로즈 유리드믹스 교육의 특징
2.2. 오르프
2.2.1. 칼 오르프의 생애 및 교육 철학
2.2.2. 칼 오르프의 음악교수법
2.2.3. 칼 오르프 교육의 특징
2.3. 달크로즈와 오르프의 공통점과 차이점
2.3.1. 리듬의 공통점과 차이점
2.3.2. 선율의 공통점과 차이점
2.3.3. 가창의 공통점과 차이점
2.3.4. 기악의 공통점과 차이점
2.3.5. 창작의 공통점과 차이점
2.4. 관련 음악 활동의 예
2.4.1. 달크로즈 교수법을 적용한 수업안
2.4.2. 오르프 교수법을 적용한 수업안
3. 시사점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여러 가지 소리에 둘러싸이게 된다. 이러한 소리들은 인간이 느끼는 최초의 예술 형태라고도 볼 수 있다. 소리도 음악의 한 구성이라는 점에서 볼 때, 유아들은 어머니의 뱃속에 있을 때부터 음악적 경험을 하게 되고 나중에는 자신의 감정을 음악적으로 표현하고 승화시키기도 하며 타인과 의사소통을 하기도 한다. 유아가 점차적으로 성장하면서 음악을 통하여 무한한 상상력을 가질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음악의 특징은 유아에게 의도적으로 음악 활동을 강조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레 형성되는 생활의 일부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유아기 때 본능적으로 음악을 즐기더라도 이러한 감정들은 대부분 비언어적이고 감각적인 것이기 때문에 가만히 내버려두어도 음악적 학습으로 연결되어 지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유아의 타고난 음악적 능력을 발전시키고, 이러한 본능적 특징을 살려서 효과적인 음악성 발달이 이루어지게 하려면 즉흥적인 환경 이외에 체계적인 음악적 경험과 소재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2. 본론
2.1. 달크로즈
2.1.1. 쟈크 달크로즈의 생애 및 교육 철학
쟈크 달크로즈의 생애 및 교육 철학이다. 에밀 쟈크-달크로즈(Emile Jaques Dalcroze:1865~1950)는 스위스 출신의 저명한 음악 교육자이자 작곡가, 지휘자, 피아니스트이다. 1877년 스위스 제네바의 콘서바토리움을 졸업하고 파리 빈에서 피아노와 작곡을 전공하였으며, 1883년에는 테너로서의 경력을 쌓기 위해 파리로 떠났다. 연극과 음악 양쪽에 재능이 있었던 그는 이 두 분야 사이에서 어떤 길을 선택해야 할지 갈등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과정 중에 연극 공연을 위해 작곡을 하게 되었고, 이 두 가지 관심 분야를 적절히 접목함으로써 음악과 움직임의 조화를 깨닫기 시작하였다. 1892년부터 제네바의 콘서바토리움에서 화성학(harmony)과 솔페즈(solfege)를 가르치는 교수로 일하면서 작곡과 연주 활동도 활발히 하였다. 이때부터 그는 리듬성을 체험하는 방법을 연구하였고 제네바에서 처음으로 신체를 이용하는 방법을 적용시켰다. 달크로즈의 음악 교육적 철학 이념은 음악은 학생에게 지적인 지식 이전에 감각적이어야 하고, 신체 모든 부분이 감각 기관이므로 이들의 발달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며, 음악적 생각이나 느낌은 신체를 통해 표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듣기 훈련이 모든 음악학습의 우선이 되어야 하고, 학생들의 음악적 경험은 단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리듬 경험과 청각 훈련이 있은 후에 악기에 대한 공부를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어린이 개개인의 개성과 독창성은 극도로 중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달크로즈의 교육이념은 음악 요소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음악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2.1.2. 쟈크 달크로즈의 음악교수법
달크로즈의 음악교수법은 음악적 요소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통해 음악을 학습하는 것이다. 달크로즈는 유리드믹스, 솔페즈, 즉흥 연주라는 세 가지 교수법을 제시하였다.
첫째, 유리드믹스는 '좋은 리듬'이라는 뜻의 그리스어로, 음악의 리듬을 몸동작과 신체를 통해 표현하며 음악적 개념을 형성하도록 하는 독특한 리듬교육 방식이다. 달크로즈는 모든 인간이 타고난 리듬감을 지니고 있으며, 음악을 신체 표현을 통해 경험할 때 음악적 발전이 이루어진다고 믿었다. 유리드믹스를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음악적 요소들을 몸동작으로 직접 경험하고 표현함으로써 리듬에 대한 이해와 감각을 기를 수 있다.
둘째, 솔페즈는 악보를 보고 계이름을 부르는 교육방법이다. 달크로즈의 솔페즈 교육은 악보에 숨겨진 작곡가의 의도를 파악하는 훈련에 중점을 두어 음악해석 능력과 정확한 표현 능력을 발달시킨다. 또한 리듬, 음높이, 화성, 음질, 조성 능력을 동시에 기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듣기 능력과 음형 기억 능력이 향상된다.
셋째, 즉흥 연주는 박자, 강세, 길이, 빠르기 등의 음악요소와 음높이, 음계, 화음 등의 소리 요소를 창의적으로 결합하여 표현하는 활동이다. 달크로즈는 즉흥 연주를 통해 작품 분석 능력, 음악적 형식 이해, 강약 등의 구조 파악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즉흥 연주 지도에는 움직임, 말, 이야기, 노래, 타악기, 현악기, 관악기, 피아노 등 다양한 매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피아노를 많이 활용하였다.
이처럼 달크로즈의 음악교수법은 신체 움직임, 악보 읽기, 즉흥 연주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음악의 기본 요소를 직접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달크로즈는 이러한 음악 학습법을 통해 학생들의 청각적 능력과 음악성 발달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
2.1.3. 쟈크 달크로즈 유리드믹스 교육의 특징
유리드믹스(Eurhythmics)에서'유(Eu)'는'좋다(Good)'...
참고 자료
민경훈 외. (2010). 『음악교육총론』. 서울:학지사.
조순이. (2010). 『오르프 교수법. 달크로즈, 코다이, 오르프, 고든, 포괄적 음악성 음악교수법. 김진환(편)』. 서울:학지사.
김지은. (2011). 달크로즈와 오르프의 음악교수법에 관한 비교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정준. (2005). 칼 오르프의 음악작품과 슐베르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공용, 레포트, 2010, 음악 부호 등 시각적 음악 인식
김영현(2006) 유아음악교육론. 서울 : 학지사
김진영, 유아음악교육 (유아교사를 위한), 양서원, 2007
김백준, 유아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현대음악, 2007
김민서. "메리암의 음악의 기능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과 생활」 분석 및 학습 지도방안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서울
http://www.riss.kr.glibproxy.gachon.ac.kr:8080/link?id=T14727741
이다윤. "춤곡을 활용한 유아 음악 감상 지도방안." 국내석사학위논문 백석대학교 음악대학원, 2013. 서울
http://www.riss.kr/link?id=T13052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