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발열교육프로그램의 효과
1.1. 발열교육프로그램이 아동병원간호사의 지식, 태도 및 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1.1.1. 발열에 대한 지식 향상
발열교육프로그램이 아동병원간호사의 발열에 대한 지식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에 따르면 아동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발열교육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의 발열에 대한 지식점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졌다.
간호사들은 발열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부족했으며, 발열의 기준에 대해서도 일관성이 없었다. 또한 일부 간호사들은 발열을 해로운 것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었고, 열의 정도에 따라 질병의 중증도와 관계가 있다고 인식하는 등 발열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시된 발열교육프로그램은 아동병원 간호사들에게 발열에 대한 정의, 생리기전, 이로운 점과 해로운 점, 오해와 현행 실무의 문제점 등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의 발열에 대한 지식점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교육을 통해 간호사들이 발열에 대한 잘못된 지식을 정립하고 발열의 긍정적인 측면을 인식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발열교육프로그램은 아동병원 간호사의 발열에 대한 지식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1.2. 발열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변화
발열교육프로그램이 아동병원간호사의 발열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따르면 교육프로그램 후 실험군의 발열태도 점수는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간호사들이 발열관리를 수행할 때 PRN으로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하는 의사결정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해열제에 대한 약리작용, 투여량, 권장량, 최고흡수시간, 지속시간, 및 부작용 등의 지식이 부족하였기 때문에 교육의 효과로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발열에 대한 두려움이 여전히 존재하여 해열제를 남용하고 있다는 인식의 변화로 발열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아동병원 간호사들에게 발열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발열에 대한 지식을 높이고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이끌어 냄으로써 적절한 발열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1.3. 발열 간호수행에 대한 효과
발열 교육프로그램이 아동병원간호사의 발열에 대한 간호수행에 미친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간호사들의 발열에 대한 지식 및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간호수행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