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세종한국어3 14단원 듣고 말하기 활동 개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듣기와 말하기의 개념
1.2. 세종한국어3의 14단원 선정 및 듣기 전 활동 개발 목적
2. 듣기 전 활동 개발
2.1. 정보 강화 활동
2.1.1. 문법 '-는 것' 익히기
2.1.2. 어휘와 표현 학습
2.2. 배경 지식 활성화 활동
2.2.1. 교사 질문에 대답하기
2.2.2. 시각자료 활용하기
2.2.3. 빈칸 미리 채워보기
3. 부교재 개발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듣기와 말하기의 개념
듣기는 의사소통 활동 중 음성 언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이해 활동으로 귀를 통해 들어오는 말소리를 두뇌가 인지하고 발화자의 의도나 의미를 파악하여 그에 대응하는 반응을 준비하는 과정이다. 최근 듣기 행위가 궁극적으로 의사소통에 기여하고 수업이 학습자의 듣기 전략을 적극적으로 개발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과정으로서의 듣기가 강조되고 있다. 엄밀하게 말하면 듣는 동안의 활동을 가리키지만 교수-학습 현장에서는 듣고 바로 응답하는 활동으로 제한된다.
말하기는 자신이 의도한 내용을 음성 언어를 통해 표현하는 언어 기능으로 의사소통 행위에서 가장 중요한 수단이며 이러한 의사소통을 위해 상대방과 상호작용을 해야 한다는 것에 말하기의 어려움이 있다. 혼자서 아무리 잘 준비를 했다고 하더라도 상대방과 의사소통하는 데 실패한다면 성공적인 말하기라고 할 수 없다. 즉, 말하기란 상대방의 말을 듣고 판단하여 자신의 의도에 맞게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으로 의사소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2. 세종한국어3의 14단원 선정 및 듣기 전 활동 개발 목적
세종한국어3의 14단원 중 한 단원을 선택하여 '듣고 말하기' 페이지의 1,2,3번의 듣기 전 활동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학생들에게 배부할 부교재 형태로 개발하고 해당 듣기 전 활동의 의도와 수업 방법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세종한국어3의 14단원 중 2번째 단원인 '직업'을 선택하여 학습목표의 주제를 포함한 문법, 어휘와 표현 등을 고려하여 듣기 전 활동을 구성하고자 한다.
2. 듣기 전 활동 개발
2.1. 정보 강화 활동
2.1.1. 문법 '-는 것' 익히기
정보 강화 활동 : 문법 '-는 것'이라는 주제로 표현 익히기
1) 의도: 2과의 주제는 시간이 있을 때 하는 일이...
참고 자료
외국어로서의한국어이해교육론 강의교안/배론원격평생교육원
세종한국어 3/국립국어원/국립국어원
연세 한국어 1-1/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2013년03월05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이해 교육론] P.80-88, 배론 원격 평생교육원
Min Jinyoung, Yeo Soonmin, Han Jukyung, 2019, [Correct your Korean] P.336-337, Darakwon
[세종한국어3] P.23-32, 국립국어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