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심리학 5대 관점 설명 및 사례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심리학의 5대 관점
2.1. 신경생물학적 관점
2.2. 인지적 관점
2.3. 행동적 관점
2.4. 정신분석적 관점
2.5. 현상학적 관점
3. 신경생물학적 관점이 인간 심리를 가장 잘 설명하는 이유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심리학이란 인간의 다양한 행동들을 이해하기 위해 인간의 정신과정과 행동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한마디로 한 사람의 마음 상태를 알아보는 과학인데 사람의 마음은 직접 눈으로 보고 관찰할 수 없기에 말이나 표정, 태도, 몸짓 등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들만 보고 연구할 수밖에 없다. 인간은 자신의 마음 상태에 따라 보이는 행동도 달라지는데 슬픈 일이 있으면 눈물을 흘리고 기쁜 일이 있으면 몸을 흔들거나 함박웃음을 지으며, 부끄러운 일이 생기면 얼굴이 붉게 상기되기도 한다. 또 화가 나는 일이 있으면 버럭 소리를 지르고 화를 내는 행동 등 사람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 행동이나 심리 상태가 변화한다. 하지만 같은 상황에 놓여도 화를 내는 사람과 무덤덤하게 받아들이는 사람이 있는 것처럼 같은 상황에서 사람의 심리는 다 똑같지 않다. 그렇기에 심리학은 사람의 행동을 연구하며 다양한 상황에 놓인 사람들의 복잡한 심리 상태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본다. 최근 들어 삶의 질에 관련된 문제들이 점점 더 중요해 지는데 심리학은 인간 심리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는 원리를 밝히는데 중요한 분야가 될 것이다.
2. 심리학의 5대 관점
2.1. 신경생물학적 관점
신경생물학적 관점은 과거 의식의 기능을 강조하는 기능주의 심리학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이 관점에서는 인간의 행동과 심리상태를 뇌와 신경계의 활동으로 접근한다. 또한 이러한 행동과 심리 현상에 대한 이해를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에서 일어나는 전기, 화학적 작용을 기반으로 설명한다.
신경생물학적 관점에서는 주로 뇌, 신경계통, 화학물질, 유전자 등의 생물학적 요인이 행동과 심리 현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한다. 예를 들어 사람의 눈앞에 도형을 제시한 후 뇌세포에서 일어나는 전기, 화학적 신호 변화를 관찰하는 실험이나, 특정 약물을 투여했을 때 도파민, 세로토닌 등 중추신경계 신경전달 물질의 분비 변화로 인한 기분의 변화를 실험한다.
그러나 이러한 신경생물학적 관점에서 심리학을 바라볼 때, 살아있는 생명체의 뇌를 연구하는 것이기에 그 기회가 드물고, 아직 복잡한 뇌 구조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부족하여 심리학적 기능을 밝혀내기가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심리학’ 검색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73313&cid=44412&categoryId=44412
네이버 블로그 / Chapter 1. 심리학의 개요 및 생리심리학-2. 심리학의 5대 관점
https://blog.naver.com/dongle9898/222367698381
“심리학”,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
“Phineas Gage”, 분자,세포생물학백과,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https://www.ksmcb.or.kr/
위더스평생교육원, 심리학개론 교안, 16 –23p
이명숙(경기대학교), “범죄인의 신경생물학적 기능손상과 교정치료” ,『아시아교정포럼』, 2019
전진호 기자, [책 속 명문장] 우울하세요? 『심리학의 쓸모』, 2020.12.10. ,
http://www.reader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1450
김지경 외 5명, 고등학교 심리학, 시마스
심리검사연구소 인싸이트 공식블로그, https://blog.naver.com/kops_blog/70147839190
교안, 심리학개론, 위더스 원격평생교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