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실습 개요
1.1. 실습 목적
실습의 목적은 직접 현장에 나가기 전, 학교에서 배운 이론들을 바탕으로 실습에 참여하여 사회복지사로서의 자신의 자질과 적합성에 대하여 살펴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주어진 과업을 적절히 수행하여 전문적인 능력을 갖출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는 것이다."
1.2. 실습 목표
실습의 목표는 첫째, 실습 자세에서 성실성과 관련하여 지각, 조퇴, 결석 없이 실습을 마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예비 사회복지사로서의 태도와 책임감을 기를 수 있다."" 둘째, 기관에 관한 정보와 지역사회에 어떠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지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실습기관인 ○○복지관의 사업과 역할, 그리고 지역사회 내에서의 기능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
1.3. 실습 내용
실습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실습생은 크게 세 가지 부분으로 실습을 수행하였다. 첫째, 사회복지와 관련된 일반적인 개념과 실천방법에 대한 교육을 받았다. 구체적으로는 권익옹호, 사례관리 실천방법, 지역사회조직의 필요성 등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의 전반적인 체계와 실천방법을 학습할 수 있었다.
둘째, 기관의 다양한 프로그램과 서비스에 참여하면서 실제 실천현장을 경험할 수 있었다. 성장디딤돌학교, 힐링웨이대학 등 장애인 대상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장애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직접 지원활동을 수행하였다. 또한 자원봉사자 교육, 광명동굴 답사 등 기관의 다양한 활동에 직접 참여하여 기관의 역할과 기능을 학습할 수 있었다.
셋째, 문서작성 능력 향상을 위한 실습이 이루어졌다. 실습일지, 기관분석보고서, 프로포절 작성 등 사회복지현장에서 필수적인 문서작성 능력을 익힐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특히 프로포절 작성 실습을 통해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의 방법과 절차를 학습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실습생은 사회복지 이론과 실천, 기관 활동 참여, 문서작성 능력 배양 등 다양한 실습 내용을 통해 예비 사회복지사로서의 역량 향상을 도모할 수 있었다."
1.4. 실습 기간
실습 기간은 총 15일, 120시간으로 진행되었다. 구체적인 실습 기간은 2022년 07월 24일부터 2022년 08월 24일까지 약 1개월 간 이루어졌다. 실습생은 기관 방침에 따라 09시부터 18시까지 정상 출근하여 실습에 임하였고, 실습 과정에서 지각, 조퇴, 결석 없이 성실하게 참여하였다.
2. 실습 평가
2.1. 실습 내용 및 역할 평가
2.1.1. 수행한 실습 내용 및 역할
실습생은 기관소개, 권익옹호의 이해, IPP 이해, 사례관리실천방법 등 사회복지전문가로부터 사회복지의 공통교육강의를 통해 사회복지개념(권익옹호, 사례관리 실천방법, 지역사회조직의 필요성 등)과 실천방법, 기술을 학습하여 장애인복지관의 전반적인 체계를 배웠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앞으로 실습에 참여할 때 보다 전문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