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중국 고전사상: 노자와 장자
1.1. 노자의 사상
1.1.1. 노자 인물의 다양한 해석
노자 인물의 다양한 해석이다. 시대에 따라 다르게 해석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쉽게 말해, 노자에 관해 가장 기본이 되는 기록이며 최초의 공식적 전기인 이 있는데, 〈노자열전〉을 보면 노자는 초나라의 곡인리 사람이고, 성은 이(李), 이름은 이(耳), 자는 담(聃)이라고 한다. 그런데 또 '노자명'을 보면 초나라 상현 사람이라고 나온다. 이처럼 노자라는 인물만으로도 어느 한 가지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니 노자열전 또한 역사적인 사실만 기록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전설을 모아둔 기록이라는 이야기다. 그렇다 보니 사상에 대한 해석 또한 굉장히 다양하고, 시대에 따라 변화하기도 한다.
1.1.2. 《노자》의 저작 과정과 특징
《노자》의 저작 과정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현재로서는 《노자》는 기본적으로 전국 시대 말기에서 한나라 초기까지 오랜 시간 동안 만들어진 책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더욱이 묄러는 《노자》의 저자조차 누군지 알 수 없다고 한다. 한 명의 개인 사상만이 들어간 것이 아니라 여러 사람의 사상이 얽힌 만큼 읽는 사람이 스스로 해석해야 한다. 《노자》에는 여러 층위의 사상이 연결되어 있으며, 때로는 모순되기도 하는데 이는 《노자》가 상당한 시간에 걸쳐 복합적으로 형성되어 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자》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한 시점에서의 사상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복합적 형성 과정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노자》는 전국 시대와 한나라 초기에 걸쳐 장기간에 걸쳐 형성되었으며, 단일한 사상가의 저작이 아닌 다양한 사상가들의 성과가 복합적으로 엮여 있는 책이라고 볼 수 있다.
1.1.3. 노자와 페미니즘
노자와 페미니즘은 여성성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관련성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노자》에서는 여성성을 상징하는 "계곡의 정령"을 찬양하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는 유가에서 "낮은 곳"을 부정적으로 보는 것과 대비된다. 이러한 점에서 《노자》가 여성적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노자》에서 말하는 여성성은 단순히 여성 해방이나 권익 신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통치자가 자신을 낮추어야 한다는 정치적 함의를 지닌다. 즉, 여성성을 찬양하는 것은 군주가 겸손해져야 한다는 노자의 주장을 드러내기 위한 상징적 표현일 뿐이다.
《노자》가 여성성을 중시한다는 해석은 역사적 사실이나 중요한 관점들을 무시한 채 현대적 주제에만 과도하게 끼워 맞추려는 것일 수 있다. 중국 고대 사회에서 유교가 지배적이었던 상황에서 노자가 페미니즘을 추구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노자》는 남성 중심적이라고 보는 견해가 더 설득력 있다. 《노자》에서 이상적인 인물인 "성인"은 남성 통치자이다. 여성성을 강조한 것은 단순히 군주가 지녀야 할 또 다른 측면을 제시한 것일 뿐이지, 여성이 주축이 되는 중심적 사상이라고 볼 수 없다.
결국 《노자》와 페미니즘을 연결 짓는 것은 《노자》의 본래 의미를 왜곡할 수 있다. 《노자》는 여성에 대한 언급을 통해 정치술의 하나로 여성적 처세를 강조한 것일 뿐이다.
1.2. 장자의 사상
1.2.1. 《장자》와 그에 대한 다양한 해석
《장자》와 그에 대한 다양한 해석은 다음과 같다.
《장자》는 유교적 전통 안에서 해석되어 왔다. 신유학 시대에 널리 읽히면서 《장자》의 해석 전통은 원래 유가적이었다. 그렇다고 모든 신유학자가 《장자》에 호의적이었던 것은 아니었다. 한원진이 《장자》를 불태워 없애야 하는 책이라고 말하면서도 자신의 호를 남당산인(南塘散人)이라고 지은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장자》에 대한 신유학자들의 태도는 복잡했다. '산인'이 《장자》에서 유래한 말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장자》는 유교적 전통 안에서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