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ADHD심리검사특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ADHD의 이해
2.1. ADHD의 개념
2.2. ADHD의 증상
2.2.1. 과잉행동
2.2.2. 주의 산만
2.2.3. 충동성
2.2.4. 기타 증상
3. 학교에서의 ADHD 학생 지원
3.1. 인지행동 훈련
3.2. 놀이치료
3.3. 부모교육
3.4. 미술치료
4. ADHD 학생을 위한 정책적 제언
4.1. 조기진단 및 치료의무
4.2. 구체적인 정책제시 및 홍보
4.3. 지역사회와의 연계 및 치료비용 지원
4.4. ADHD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정책추진 실태점검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학교사회 복지는 학교를 실천 장소로 해서 학생을 둘러싼 가정과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의 역기능적 상호작용에 의해서 발생하는 학생의 심리 및 사회적인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한다. 또한 모든 학생이 자신의 잠재력과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도록 이상적인 교육환경을 제공해서 학교가 교육의 본질적 목적을 달성하도록 도와주는 교육 기능의 한 부분이며 사회복지 전문 분야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학교사회복지사는 사회 복지의 원리 및 방법들을 적용하는데,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 문제가 학생의 특징 및 학교 환경의 조건과 방침 사이의 상호교류 산물이라고 보는 관점이다. 그러므로 학교사회복지사는 가정과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 사이의 연결자와 조정자로 활동하면서 학생과 환경 사이의 상호교류를 변화시키려고 노력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노력은 교육자를 포함해 학교 안의 전문가들과 협조적으로 팀을 이루면서 이루어져야 한다.
2. ADHD의 이해
2.1. ADHD의 개념
ADHD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ADHD는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의 약자로써, 가장 흔하게 진단되는 행동장애이며 대략 3-5%의 아동에게 나타난다. ADHD는 발달적으로 부적절한 주의집중, 과잉행동, 충동성이 특징이고 이러한 행동이 여러 상황에서 6개월 이상 지속되며 7세 이전에 시작되는 유아기 장애이다. 1987년 미국정신의학협회에서 출판한 정신장애의 진단과 편람(DSM-Ⅲ-R)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용어로서, 진단기준에서는 ADHD의 하위유형을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충동성으로 나눠 놓았다. ADHD는 한 가지 자극에 지속적으로 주의집중 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함을 의미하는데, 부주의로 인해 아동은 지시를 잘 따를 수 없고, 집중하기 어려우며, 분산적이고, 쉽게 잊어버릴 뿐만 아니라, 과제를 마치기가 어렵고, 쉽게 지루해 한다. 그러나 이런 성향은 정상아동도 보이므로 행동의 정도, 발생빈도, 지속성, 장소 등에 대한 명확한 구별이 필요하다. 과잉행동은 청소년기를 거쳐 성인기가 되면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나 ADHD의 문제는 자라면서 내재화되고 고착화되는데 심각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2.2. ADHD의 증상
2.2.1. 과잉행동
ADHD 아동의 과잉행동은 청소년기를 거쳐 성인기가 되면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ADHD의 문제는 자라면서 내재화되고 고착화되는 데 심각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ADHD 아동은 청소년기에 공격성, 충동성, 산만함 등의 증상으로 인해 또래관계 형성과 유지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특히 과잉행동은 ADHD의 핵심 증상 중 하나로, 부모들은 "아이가 항상 가만히 있지를 않아요", "마치 모터가 달린 것 같아요", "지나치게 기어올라요" 등의 호소를 한다. 과잉행동은 시간이 지나면서 대근육 운동에서 소근육 운동으로, 외적 행동에서 내적 행동으로 변화한다. 학령전기에는 나대고 돌아다니는 등의 대근육 활동이 문제가 되지만, 학령기가 되면서 꼼지락거림, 자리에서 뒤돌아보기, 다른 아이 집적대기, 연필 물기 등의 소근육 활동으로 문제가 나타난다. 이러한 과잉행동 증상으로 인해 ADHD 아동은 또래관계 형성과 유지, 학업 수행 등에 어려움을 겪게 되며, 나아가 청소년기와 성인기까지 부적응적인 행동이 지속될 수 있다.ADHD 아동의 과잉행동 증상은 청소년기와 성인기로 이어질수록 변화되어 나타난다. 특히 학령기에 접어들면서 대근육 활동에 의한 과잉행동보다는 소근육 활동에 의한 과잉행동이 문제가 된다. 이는 ADHD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행동 양상이 변화하지만, 과잉행동이라는 문제 행동은 지속적으로 나타나며 이것이 대인관계, 학업 수행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어려움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ADHD 아동의 과잉행동 증상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이를 효과적으로 중재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2.2.2. 주의 산만
ADHD 아동의 주의 산만은 한 가지 자극에 지속적으로 주의집중 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함을 의미한다. 부주의로 인해 ADHD 아동은 지시를 잘 따를 수 없고, 집중하기 어려우며, 분산적이고, 쉽게 잊어버릴 뿐만 아니라, 과제를 마치기가 어렵고, 쉽게 지루해 한다. 부모들은 "아이가 말을 귀기울여 듣지 않아요", "끝맺음을 잘 못해요", "물건을 잘 잃어버려요", "집중하지 않아요", "자꾸 지시해야만 해요", "일을 끝내지도 않고 딴 일을 벌여요"라고 호소한다. 과제 수행을 할 때 주의 산만이 뚜렷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주의 산만은 학업 수행 능력 부족, 이차적인 동기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ADHD 아동의 주의 산만은 정상아동도 보이므로 행동의 정도, 발생빈도, 지속성, 장소 등에 대...
참고 자료
안권순/정신건강론/학지사/2023
김혜금 외 3/정신건강론/정민사/2021
김혜경, (2017), ADHD 아동에 대한 부모 교육 병행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사례 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33(1) 1
안계숙, (2016), 감정일기 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츼 학교생활 적응능력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안동현, 김세실, 한은선, (2013), 주의력 결핍 장애 아동의 사회기술훈련, 서울, 학지사
Kathleen G. Nadeau & Ellen B. Dixon (2007) 얘들아! 천천히 행동하고 주의집중하는 것을 배워보자, 서울, 학지사
오원옥, 박은숙, (2007),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 부모의 양육 경험 : 정상에 다가가기, 대한간호학회지, 37(1), 91-103
임종아(201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아동의 비유의미 인식,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지, 314
장경순, (2017), ADHD 학생의 약물치료의 효과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90-100
정남옥, (2009),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영유아를 위한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15(2), 237-238, 241
청년의사 모바일 사이트, “ADHD 치료제, 공부 잘하게 하는 약 아니에요”, http://m.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8387, 2019.11.19.
쩌우쯔원 · 왕이, (2007), 한방으로 치유하는 ADHD, 서울, 북피아
John F. Taylor, (2008), 주의력결핍 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이들을 위한 지도서, 서울, 시그마프레스
Lisa A. Kurtz, (2014), 자폐, 주의력결핍, 학습장애 아동을 위한 논쟁적인 치료에 대한 이해, 서울, 시그마프레스.
Lawrence E. Shapiro, Ph.D. ,(2012), 위기의 청소년을 돕는 워크북(3) ADHD 아이들을 위한 활동, 서울, 명상상담연구원
Mark L, Wolraich, George J, Dupaul, (2013), ADHD 진단 및 중재 –병원 클리닉과 교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실용 가이드-, 서울, 학지사
Mondell, S., & Tyler, F. B. (1981). Parental competence and styles of problem- solving/play behavior with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17, 73-78.
김영단. 2004. “ADHD 아동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미경. 2007. “초등교사의 효능감이 ADHD 아동의 인식 및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윤선미. 2008. “ADHD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석사학위청구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효신. 2000. “ADHD 아동의 특성과 중재에 관한고찰”. 「정서・학습장애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