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폐장애교육: 매체 속 자폐아동 상호작용 특성 및 지원방법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폐성 장애아동의 특성과 지원 방안
1.1.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특성
1.1.1. 드라마와 영화 속 자폐성 장애아동 사례 분석
1.2. 효과적인 지원 방안
1.2.1. 의사소통 스킬 습득
1.2.2. 행동 수정
1.2.3. 감각통합 치료
1.3. 매체를 통한 자폐성 장애인과의 만남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폐성 장애아동의 특성과 지원 방안
1.1.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특성
1.1.1. 드라마와 영화 속 자폐성 장애아동 사례 분석
드라마와 영화 속 자폐성 장애아동 사례를 분석하면, 이들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서 다양한 특성을 보인다.
먼저, 드라마 '굿 닥터'의 주인공 박시온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그는 동료 의사의 화난 표정을 이해하지 못해 오해와 갈등이 발생하곤 한다. 이는 자폐성 장애아동이 복잡한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상대방의 정서와 동기를 읽어내지 못하는 특성을 잘 보여준다.
또한 박시온은 의료 관련 지식에 강한 집착을 보이며, 이를 통해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한다. 이러한 특정 관심사에 대한 집착과 반복적인 행동은 자폐성 장애아동에게 자주 나타나는 상동행동의 특성이다. 박시온은 때때로 동료 의사가 사용한 의학 용어를 그대로 따라하는 반향어를 보이는데, 이는 새로운 말을 습득하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영화 '마더'의 주인공 도준 또한 자폐성 장애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그는 특정한 행동 패턴을 반복하며 심리적 안정감을 찾는다. 언어 발달이 지연되어 있어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참고 자료
Patricia A. Prelock, 『자폐 범주성 장애』, 2017, 학지사
김미경, 최기창,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 교육, 형지사, 2011.
이소연, 박은혜,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