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운영방안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공급사슬관리와 수요예측
1.1. 공급사슬관리의 개념
1.2. 채찍효과
1.2.1. 채찍효과의 개념 및 의의
1.2.2. 채찍효과의 발생원인 및 해결방안
1.2.3. 채찍효과의 사례
1.2.4. 채찍효과의 결론 및 시사점
1.3. 수요예측
1.3.1. 수요예측의 개념 및 의의
1.3.2. 수요예측 실행 및 유의점
1.3.3. 수요예측 사례
1.3.4. 수요예측의 결론 및 시사점
1.4. 참고문헌
2.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지역사회복지협의회
2.1.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기능과 역할
2.2.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기능과 역할
2.3. 지역사회복지협의체 vs 지역사회복지협의회 비교 분석
2.4. 지역사회복지협의체 vs 지역사회복지협의회 운영 목적(구성 목적)
2.5.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중 대표협의체 구성원 및 각 위원들의 역할
2.6.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사업 운영의 필요성과 기본원칙, 기능과 역할, 구조 및 구성
2.7.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사례 비교분석
3. 청원경찰의 실태분석 및 발전방안
3.1. 청원경찰의 도입 배경 및 의의(기능)
3.2. 청원경찰의 배치 및 인원
3.3. 청원경찰의 채용 현황
3.4. 청원경찰의 직무
3.5. 청원경찰의 문제점
3.5.1. 교육 관리의 문제
3.5.2. 채용 및 운영의 문제
3.5.3. 처우 및 보장의 문제
3.6. 청원경찰 채용의 공정성
3.6.1. 청원경찰 채용자격
3.6.2. 청원경찰의 채용절차와 방식
3.7. 청원경찰 채용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공급사슬관리와 수요예측
1.1. 공급사슬관리의 개념
공급사슬관리란 공급 사슬 안에서 일어나는 생산, 납품, 제품의 생산 등에 걸친 모든 경영 활동들을 효과적,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경영관리기법이다. 공급업체, 제조업체, 유통업체는 각각의 다른 비즈니스를 수행하고 있지만 이들은 공급 사슬이라는 하나의 생태계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같은 공급사슬에 속한 업체들은 서로 원만한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공급사슬생태계 내의 업체들 간의 관계가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하고 있을 때 고객을 만족시키고 각종 비용을 절감시켜 산업 내의 경쟁우위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1.2. 채찍효과
1.2.1. 채찍효과의 개념 및 의의
채찍효과(Bullwhip Effect)는 공급사슬관리 내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로, 제품의 수요에 대한 정보가 유통업체에서 제조업체로, 제조업체에서 원자재나 부품을 납품하는 공급업체로, 그리고 2차, 3차 공급업체로 전달되어지는 과정에서 수요에 대한 예측이 실제 필요한 수요량과 다르게 왜곡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하나의 제품이 생산되어 소비자에게까지 이동하는 데에는 여러 이익집단의 수요와 공급의 과정이 존재한다. 그 과정에서 각 기업들은 수요예측을 자기업의 입장에서 독립적으로 하게 되는데, 개별 기업은 '만약의 상황'에 대비하여 충분한 만큼의 재고를 보유하고자 한다. 이러한 각 기업들의 독립적인 수요예측은 해당 기업의 생산계획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공급사슬 생태계에 속해있는 모든 기업의 생산 계획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나비효과처럼 공급사슬 전반에 걸쳐 확산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 속에서 공급사슬생태계에 속한 기업들 간의 정보공유 의지 부족으로 인한 수요예측의 실패로 발생하는 현상을 채찍효과라고 한다.
채찍효과는 구체적으로 두 가지 현상을 의미한다. 공급사슬생태계에 있어서 원자재 공급자, 중간부품 제조업자, 완제품 제조업체, 도매상 및 물류업체, 소매업체의 각각의 주문이 실제로 소비자의 실제 수요보다 더 큰 규모로 왜곡되는 '수요왜곡'과 이에 따른 주문량의 변화가 공급사슬생태계를 따라서 다음 단계로 이동함에 따라 증대되는 '변화확산' 현상의 두 가지이다.
이러한 채찍효과는 공급사슬 생태계 내 기업들의 독립적인 수요예측 및 정보공유 의지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공급사슬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공급사슬 내 기업들 간의 긍정적인 협력과 정보공유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1.2.2. 채찍효과의 발생원인 및 해결방안
채찍효과의 발생원인은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로 중복적인 예측이다. 제품이 생산되어 최종 고객에게까지 유통되는 과정에서, 공급사슬 생태계에 속한 이해관계 당사자들은 제품을 얼마나 공급을 해야 할지에 대한 수요예측을 하게 된다. 이러한 수요예측 과정에서 공급업자들은 일반적으로 과거 구매기업이 주문을 했을 때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미래의 수요를 예측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수요예측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매번 기간마다 예측된 수요는 달라지고, 이에 따른 재고를 검토해야 하는 기간이 변동되면서 판매 기업은 수요예측을 빈번하게 실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수요 증가나 감소에 대한 예측이 중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결국 최종 소비자의 실제 수요량은 왜곡되게 된다.
둘째, 배치식 주문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구매업체가 구매주문을 할 때, 매 주문은 물건을 판매할 때마다 즉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물건이 판매되고 재고 보유 비율이 일정 수준 이하로 내려갔을 때 일괄주문을 하는 배치주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배치식 주문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공급사슬 내의 여러 업체들이 동시에 주문을 하게 될 경우, 특정 시점에서 급격히 제품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여러 기업이 동시에 급증 현상을 보인다면 채찍효과는 더욱 커지게 된다.
셋째, 공급업체의 유동적 가격정책이다. 공급업체는 도매상이나 소매상에게 일정 기간 동안 가격을 할인해 주는 경영전략을 사용하곤 한다. 공급업체가 할인 정책을 실시하게 되면 도소매 업체들은 할인 기간에 물건을 한 번에 주문한 후 그 물건들을 전부 소비하기 전까지는 다시 주문을 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선 구매 행위로 인해 쌓여버린 재고는 수요의 불규칙을 유발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공급업체가 가격 할인을 자주 실시하게 된다면 구매업체들은 할인이 시행되지 않는 기간에는 구매를 하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수요가 폭등할 경우의 구매업체에 대한 공급업체의 제품 할당 문제이다. 제품에 대한 수요가 공급자의 재고 보유량을 뛰어넘게 된다면 공급자는 공급사슬 내의 구매자들에 대해 공급량을 할당하게 되는데, 이때 공급업체의 재고 보유량이 전체 구매자의 수요의 합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구매자는 충분한 양의 제품을 공급받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과거의 경험에 근거하여 구매자는 차후 주문을 할 때 필요한 실제 수요보다 더 많은 양을 구매하게 되며, 공급업체는 높아진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재고 보유율을 높일 것이다. 이와 반대로 생산능력과 수요가 일치할 때는 구매기업이 초과된 재고를 방출할 것이기 때문에 수요는 실제 필요량에 비해 급격히 감소하게 될 것이다.
Lee 박사는 위와 같은 네 가지의 채찍효과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한 해결 방법을 제시하였다.
첫째, 중복적인 예측을 막기 위해서는 공급업체들에게 실제 수요정보를 제공되어야 하며 더 나아가 모든 판매시점의 데이터가 상위 공급업체에게 제공된다면, 공급사슬 생태계에 속한 모든 업체들은 실시간 수요정보를 통해 불필요한 수요의 중복 현상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둘째, 배치형 주문방식으로 인한 재고 수요의 급증 현상을 막기 위해서 재고의 가시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구매업체들은 주문 시점을 골고루 분배하여 소규모 발주를 늘리도록 하고 일괄 주문 간격을 줄이거나 자동주문 시스템을 활용한 주문비용의 감소를 이용해 재 주문 간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 하였다.
셋째, 유동적 가격 정책으로 인한 문제를 줄이는 방법은 공급사슬 기업들 간의 가격 할인을 없애는 것이라 주장하였다. 제조업자들은 구매업자들에게 단일 도매가격을 제공해야 하며, 이에 따른 효과로 선 구매로 인한 채찍효과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넷째, 수요의 폭등에 따른 할당 문제에 대해, 판매업자가 고객의 이전 수요에 기초해 공급량을 할당하는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위의 방법의 사용은 구매업자들의 과주문 현상을 막을 수 있다. 하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역시 구매업체와 생산업체가 재고정보와 생산능력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다. 구매업체가 공급업체와 미래의 주문 계획 공유를 통해 공급업체의 필요에 따른 생산능력을 증가시킨다면 문제의 해결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을 것이라 주장했다.
1.2.3. 채찍효과의 사례
채찍효과의 사례"
P&G(Procter & Gamble)사는 채찍효과를 가장 먼저 발견한 기업으로 알려져 있다. P&G의 최고 경영진들은 기업의 판매 상품 중 하나인 아기 기저귀의 판매 추세 변동을 분석하던 중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아기 기저귀는 상품의 특성상 소비자의 수요가 크게 변화하지 않는 제품이었지만, P&G사는 기저귀의 실제 수요량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소매점과 도매점의 주문 수요가 일정하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수요 변동의 폭이 제품의 최종 소비자, 소·도매업체, 제조업체, 원자재 공급업체로 이어지는 공급사슬 생태계 속에서 최종소비자에게서 멀어질수록 그 변동의 폭이 크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P&G사는 이러한 현상의 원인에 대해 연구하였고, 그 결과 아기 기저귀에 대한 최종 소비자의 작은 수요 변화가 소매상, 도매상을 이어 원자재 업체의 제품 수요예측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는 '채찍효과' 현상을 발견하게 되었다.
Reebok사의 경우에도 정보공유의 부재로 인해 채찍효과가 발생하였다. Reebok은 종합 스포츠 의류를 판매하는 회사로 본사 아래 대리점을 두어 운영하는 형태로 사업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사업 형태에서 Reebok사는 대리점과 본사 간 정보의 공유가 원활하지 않아 채찍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리점에서의 실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가 직접적으로 이용되어지지 않고 다단계 수요예측을 통해 공급을 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채찍효과가 점점 커지게 된 것이다. 이에 Reebok은 문제점을 깨닫고, 문제 해결을 위해 중간 물류기지인 '버퍼(buffer)'를 설치하였다. 버퍼를 통해 Reebok은 리드타임 감소, 재고 감축, 품절 방지를 통해 채찍효과의 감소를 꾀하였다.
1.2.4. 채찍효과의 결론 및 시사점
채찍효과의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채찍효과가 P&G사의 사례를 통해 처음 발견된 이후 이러한 수요 왜곡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 기업들은 공급사슬 관리를 통해 채찍효과의 발생을 줄이는 다양한 방법들을 고안했지만 채찍효과는 여전히 공급사슬 내에서 고질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이다. 그럼에도 기업들이 공급사슬관리를 통하여 채찍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이 필수적인 이유는 공급사슬 생태계에서 한 기업의 수요의 왜곡으로 인한 생산의 왜곡은 해당 기업 혼자만 감당해야 하는 사안이 아니라, 조달과 생산, 유통 그리고 최종 판매 과정에 속해있는 기업들에게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위의 예시들을 통해 채찍효과의 발생 원인과 그 해결 방안들을 조사했지만, 결국 채찍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공급업체가 단독으로 수요예측을 하는 방법보다는 같은 공급사슬생태계 안에 있는 기업들 간의 정보 공유와 의사소통을 활용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다. 정보의 공유는 공급사슬 안에서의...
참고 자료
Principles of SUPPLY CHAIN MANAGEMENT 5th Edition
이석진. n.d. "공급사슬망에서 채찍효과를 줄이기 위한 수요예측 정보 공유에 관한 연구." 석사, 명지대학교.
"위키백과." 채찍효과. https://ko.wikipedia.org/wiki/%EC%B1%84%EC%B0%8D%ED%9A%A8%EA%B3%BC.
Economy Insight, 미국_재고는_한국에_‘채찍효과’, http://www.economyinsight.co.kr/news/articlePrint.html?idxno=449
김남길. "효율적인 공급사슬관리를 위한 채찍효과 해소방안 - 석유 급유업을 중심으로." 석사, 부경대학교 대학원, n.d..
“위키백과”. 수요와 공급. https://ko.wikipedia.org/wiki/%EC%88%98%EC%9A%94%EC%99%80_%EA%B3%B5%EA%B8%89
“네이버블로그”. 강소제조인. 수요예측. https://blog.naver.com/sigmagil/221502502672
“티스토리”. 데이터 분석가 chocoma. 시계열 분석
https://freedata.tistory.com/36
이배운, 데일리안, “"또 완판?" 카카오미니 잇단 수요예측 실패로 소비자 원성 커져”
https://dailian.co.kr/news/view/672466
김하나. 한국경제, “[김하나의 시선집중! 이사람]" 이제는 카톡이 일상을 바꿉니다"-김병학 카카오 부사장”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1711080278g
나무위키, 카카오미니
https://namu.wiki/w/%EC%B9%B4%EC%B9%B4%EC%98%A4%EB%AF%B8%EB%8B%88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Local Social Welfare) 이론과 실제
청원경찰 채용 교육 개선방안 연구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2016/9
[네이버 지식백과] 청원경찰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이성용. (2016). “청원경찰 채용 교육 개선방안 연구”,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종보고서
김상운, 청원경찰 채용 개선방안, 2016
노병호, 청원경찰제도의 개선방안, 2016.
형사사법체계론, 임창호 외 2019,
김두현 외, 백산출판사, 민간경비론임창호 외,(2019)「형사사법체계론」 김영삼·강의환. (2007). 청원경찰제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인천대학교 법학대학 법학연구소」
김현일. (2004). 「경찰행정보조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이제혁, (2018) 민간경비제도에 관한 법적 연구
이상훈. (2016)청원경찰제도의 개선방안
http://www.opengosi.net/main/?page_name=gong_guide04_3&page_div=GU <표, 국가 공무원 결격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