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고칼륨혈증의 정의
고칼륨혈증이란 혈중 칼륨 농도가 정상(3.5-5.0mEq/L) 이상 과도하게 상승된 상태로 5.0mEq/L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칼륨은 우리 몸에서 근육과 심장, 신경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데 필수적이고, 칼륨의 약 98%가 세포 내에 존재하므로 세포 내에서 세포 외로 소량만 이동해도 커다란 생리학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1.2. 고칼륨혈증의 원인
고칼륨혈증은 칼륨이 신장을 통해 배설되는 과정에 장애가 생겨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칼륨은 신장을 통해 90% 이상 배설되는데, 신장기능 저하나 신기능장애 등으로 인해 칼륨의 배설이 감소하면 혈액 내 칼륨 농도가 높아지게 된다. 또한 부신기능 부전으로 인한 알도스테론 부족, 세포 파괴로 인한 세포 내 칼륨의 유출, 산증 등도 고칼륨혈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칼륨혈증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① 칼륨 과다섭취 - 칼륨 함유 음식이나 약물의 과다섭취, 칼륨 함유액의 과다 정맥 주입 등이 있다.
② 칼륨 배설 저하 - 부신기능 부전으로 인한 알도스테론 수치 저하, 심부전으로 인한 칼륨 배출 감소 등이 있다.
③ 세포 내에서 세포 외로의 칼륨 이동 - 심한 외상, 화상 등에 의한 조직손상, 산증, 고요산혈증, 과잉 이화작용,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 등이 있다.
따라서 고칼륨혈증의 근본적인 원인은 칼륨의 배설 기능 저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2. 고칼륨혈증의 병태생리
2.1. 혈청 내 칼륨 증가의 영향
혈청 내 칼륨 증가의 영향은 다음과 같다""
혈청 내 칼륨이 증가하면 세포외액과 세포내액 간 칼륨 농도 차이가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경한 자극만으로도 조직이 쉽게 흥분하게 되어 신경과 근육이 과민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고칼륨혈증은 신경과 근육의 흥분성을 높여 근무력감, 마비, 부정맥 등을 유발한다"" 혈청 칼륨이 매우 높아지면 근육 마비와 호흡 부전으로 인해 사망할 수도 있다""
또한 칼륨이 세포막의 안정성을 떨어뜨려 심전도 이상을 초래한다"" 고칼륨혈증에서는 T파가 뾰족해지고, PR 간격이 길어지며, QRS 파가 넓어지는 등의 변화가 관찰된다""
이처럼 고칼륨혈증은 신경과 근육의 과흥분성을 유발하고 심전도 이상을 초래하여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위험한 상태이다""
2.2. 고칼륨혈증의 원인
고칼륨혈증은 칼륨 배출 감소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이 주요한 원인이다""
칼륨은 체내에서 주로 신장을 통해 배설되는데, 신기능 저하가 고칼륨혈증의 가장 큰 원인이 된다"" 신부전 환자의 50% 이상에서 고칼륨혈증이 발생한다""
그 외에도 호르몬 이상, 대사성 산증, 이화작용 증가 등이 고칼륨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
부신기능 부전으로 알도스테론 분비가 감소하면 신장에서의 칼륨 배설이 줄어들어 고칼륨혈증이 발생할 수 있다""
심부전 환자의 경우 신장 혈류가 감소하여 칼륨 배출이 저하되어 고칼륨혈증이 나타날 수 있다""
심한 외상, 화상, 횡문근 융해 등으로 인해 세포 내 칼륨이 세포 밖으로 유출되면 고칼륨혈증이 발생할 수 있다""
당뇨병이 잘 조절되지 않는 경우나 고요산혈증이 있을 때도 고칼륨혈증이 생길 수 있다""
즉, 고칼륨혈증은 칼륨 배출 감소와 칼륨의 세포 외 유출이 주요 원인이며, 신장기능 저하가 가장 큰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3. 고칼륨혈증의 임상증상
3.1. 초기 증상
초기 증상으로는 감각장애, 근육의 허약감이 나타난다"" 고칼륨혈증이 진행되면 전신쇠약, 빈맥, 서맥, 부정맥, 심근수축 약화 등의 심혈관계 증상과 근육경련, 마비 등의 신경근육계 증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고칼륨혈증이 서서히 발생한 경우 혈청 칼륨 농도가 7.0 mEq/L 이상이 되어도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3.2. 후기 증상
고칼륨혈증의 후기 증상으로는 심혈관계 증상, 신경근육계 증상, 위장관계 증상 등이 나타난다.
심혈관계에서는 서맥, 부정맥, 저혈압, 심근수축 약화 및 심장마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신경근육계에서는 근육마비, 안절부절못함, 근육경련, 경련, 마비 등이 나타난다. 위장관계에서는 장경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