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SKT"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SK텔레콤 기업 개요
1.1. 기업 소개 및 경영 형태
1.2. 사업부 구성 및 특징
1.3. 기업의 미션과 SUPEX 추구 문화
2. 환경분석
2.1. 소비자 분석
2.2. 경쟁자 분석
2.3. 외부환경 분석
3. SWOT 분석
3.1. 강점
3.2. 약점
3.3. 기회
3.4. 위협
4. 마케팅 전략
4.1. 마케팅 목표
4.2. 시장세분화 및 표적시장 선정
4.3. 브랜드 포지셔닝
4.4. 서비스 믹스 전략
5. SKT와 KT의 경쟁 전략
5.1. 비용우위와 차별화우위 전략
5.2. 통신시장 경쟁 분석
5.3. 향후 통신사들의 경쟁전략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SK텔레콤 기업 개요
1.1. 기업 소개 및 경영 형태
SK텔레콤은 대한민국 이동통신 기업으로 유·무선 통신망을 고도화해 안정적인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고, 구독·메타버스·Digital Infra 등 새로운 영역에서 혁신을 지속해 나가는 경영 형태를 갖추고 있다. 모바일과 미디어로 나누어 총 6가지의 사업을 이루고 있으며, 모든 서비스 중심에는 고객이 있다. SK텔레콤은 차별화된 ICT 기술로 고객 만족을 이끌어 내고, 이를 바탕으로 좋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SK ICT 패밀리의 ICT 기술을 기반으로 탄소 배출 감축, 플라스틱 사용 절감, 사회적 약자 안전망 구축 등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노력을 이어 나가고 있다.
1.2. 사업부 구성 및 특징
SK텔레콤의 사업부 구성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모바일과 미디어로 나뉘어져 있는 SK텔레콤의 사업은 총 6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모바일 사업부는 이동통신 사업, 네트워크 인프라 사업, 플랫폼 사업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동통신 사업은 기존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인프라 사업은 5G를 포함한 초고속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플랫폼 사업은 다양한 ICT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미디어 사업부는 미디어 사업, T커머스 사업, 광고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디어 사업은 IPTV, OTT, 케이블TV 등 다양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T커머스 사업은 T World라는 종합 커머스 플랫폼을 운영하는 것이며, 광고 사업은 다양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SK텔레콤은 기존의 이동통신 사업을 기반으로 하여 네트워크 인프라, 플랫폼, 미디어, 커머스, 광고 등 다양한 사업부문을 운영하며 ICT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객에게 다양한 서비스와 경험을 제공하고, 사업 간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자 한다.
1.3. 기업의 미션과 SUPEX 추구 문화
SK는 고객, 구성원, 주주 등 '이해관계자의 행복'을 가치추구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구성원은 자발적(Voluntarily)이고, 의욕적(Willingly)인 두뇌활용(Brain Engagement)을 통해 최대한의 역량을 발휘하여 성과 창출에 기여한다. 이를 SUPEX (Super Excellent) 추구 문화라고 한다.
SUPEX Company는 최고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장기적 생존조건을 확보하여, 환경과 시간에 따라 변하는 SUPEX 목표를 지속적으로 추구할 수 있어야 한다. SUPEX Company를 지향하되 한 단계 높은 수준의 회사(Better Company)를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달성하면서 SUPEX Company를 구현해 나간다.
SK텔레콤에서의 SUPEX 추구란, 단순히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뛰어 넘어 고객이 자부심을 느끼는 수준의 남다른 고객 경험과 가치를 만들어 내고 사회와 함께 성장해 나가는 것으로, 이를 'SK텔레콤의 핵심가치(Create Customer's Pride)'로 정의하고 지켜 나간다.
2. 환경분석
2.1. 소비자 분석
SK텔레콤의 주요 고객층은 2-30대가 구매량과 빈도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대리점 방문, 인터넷 개통 등을 통해 주로 단말기 구매, 이동통신 관련 서비스 이용, 요금제 결제, 액세서리 구매 등의 행동을 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구매동기는 SK텔레콤의 시장점유율이 높아 안전하고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5G를 겸비한 콘텐츠 및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출시될 예정이므로, 5G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들에게 높은 충성도를 얻을 수 있고 구매예정률이 올라갈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 SK텔레콤의 주요 고객층은 2-30대이지만, 앞으로 5G 기술 발전에 따라 5G를 선호하는 고객층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2.2. 경쟁자 분석
SK텔레콤과 KT, LG U+는 대한민국 이동통신시장을 주도하는 3대 통신사이다. 이 중 SKT와 KT는 오랜 기간 동안 치열한 경쟁을 펼치며 국내 이동통신시장을 양분해왔다.
SKT와 KT의 경쟁은 크게 비용우위와 차별화우위 전략으로 나눌 수 있다. 초기에는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마케팅 경쟁이 주를 이루었다. SKT는 젊은 고객층을 공략하기 위해 'TTL'이라는 브랜드를 출시했고, KT 또한 이에 대응하여 'drama', 'Na' 등의 브랜드를 출시하며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작은 경쟁사들이 무너지고 SKT와 KT가 통합되며 규모를 키웠다.
3G 시대가 도래하면서 또 다른 양상의 경쟁이 전개되었다. SKT는 2G 시장에서의 우위를 지키는 동시에 3G 서비스 브랜드인 'T'를 출시하며 통합 브랜딩을 시도했다. 반면 KT는 3G 시장 선점을 위해 'SHOW'라는 차별화된 브랜드를 내세워 공세적인 마케팅을 펼쳤다.
스마트폰 시대가 시작되면서 다시 한번 양상이 변화했다. SKT는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에 집중한 반면, KT는 아이폰 독점 공급에 주력하며 차별화전략을 펼쳤다. 이후 5G 상용화를 앞두고 다시 한번 치열한 경쟁이 펼쳐졌다.
KT는 AI, Big Data, Cloud 등을 기반으로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으며, 플랫폼 기반의 새로운 사업모델을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LG U+도 XR 얼라이언스를 통해 5G 콘텐츠 생태계 조성에 주력하는 등 통신 3사 모두 미래 성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처럼 SKT와 KT는 오랜 기간 동안 끊임없이 치열한 경쟁을 이어왔다. 초기 브랜드 경쟁, 3G 통신망 선점, 스마트폰 독점 공급 등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경쟁 전략을 구사했으며, 이를 통해 국내 이동통신시장을 양분해왔다. 앞으로도 5G, AI, 플랫폼 등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를 중심으로 경쟁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2.3. 외부환경 분석
경제 여건과 경기 동향을 보면, 대표적인 경기방어주로 꼽혀 낮은 변동성을 보이던 SK텔레콤 주가가 지난 상반기에 매섭게 상승했다. SKT가 성장주로 변모하면서 주가도 가파르게 상승했기 때문이다. 3월부터 큰 폭으로 뛰기 시작했고, 4월 13일에는 ...
참고 자료
SKT, “회사소개” https://www.sktelecom.com/view/introduce/history.do, 2022.05.30
SKT, “회사소개” https://www.sktelecom.com/view/introduce/history.do, 2022.05.30
SKT, “회사소개” https://www.sktelecom.com/view/introduce/history.do, 2022.05.30
SKT, “비전”, https://www.sktelecom.com/view/introduce/vision.do, 2022.05.30
SKT, “회사연혁” https://www.sktelecom.com/view/introduce/history.do, 2022.05.30
Catch, “SK기업보고서”, https://www.catch.co.kr/Comp/AnalysisCompView?ID=1279, 2022.05.30
Catch, “KT기업보고서”, https://www.catch.co.kr/Comp/AnalysisCompView?ID=1316, 2022.05.30
Catch, “LG유플러스 기업보고서”, https://www.catch.co.kr/Comp/AnalysisCompView?ID=1289, 2022.05.30
Catch, “KT기업보고서”, https://www.catch.co.kr/Comp/AnalysisCompView?ID=1316, 2022.05.30
Catch, “LG유플러스 기업보고서”, https://www.catch.co.kr/Comp/AnalysisCompView?ID=1289, 2022.05.30
SKT, “전략방향”, https://www.sktelecom.com/view/manage/intro.do, 2022.05.30
김은영, [브랜드 수명주기에 따른 광고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디자인학부, 2005, p143-146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월간 방송통신사업 동향], 제2권 2호 통권 12호, 2010, p8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월간 방송통신사업 동향], 제2권 2호 통권 12호, 2010, p22
김선철, 한국전문경영인학회, [이동통신 시장의 시장세분화와 세분시장 수준의 고객 충성도 분석], 전문경영인연구 제17권 제4호, p14
장원수, 뉴스투데이, “SK텔레콤, 1분기 실적 부진 주가에 기반영••• 점진적 매수에 돌입해야”, https://www.news2day.co.kr/article/20220329500085, 2022.03.29
이호길, 시사저널e, “성장주 변신 SK텔레콤, 상반기 35% 급등•••추가 상승 여력 있나”, http://www.sisajourn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233806, 2022.07.02
김평화, 잇츠조선, “이통3사 1분기 성적은 KT>SKT>LGU+ 순”,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5/13/2022051302387.html, 2022.05.16
황동섭, 한국경영교육학화, [경영형태와 기업가치], 경영교육논총 제43집, 2006.09, p313-324
남유현, 한국학술지인용색인, [통신서비스업의 6시그마 혁신: SK텔레콤 사례 연구], 통권 21호, 2010, p121-146
임정환, 뉴데일리경제, “3월 생산 늘었지만 향후 경기 ‘불안’… 선행지수 9개월째↓,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2/04/29/2022042900022.html, 2022.04.29
T-world, “상품서비스”, http://www.tworld.co.kr/normal.do?serviceId=S_PROD6040&viewId=V_CENT6040, 2022.05.30
김은영, [브랜드 수명주기에 따른 광고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디자인학부, 2005, p143-146
이혜진, [‘어차피 1등은 SKT’… 이통시장점유율 SKT 45% KT 32% LGU+ 24%, 2021. 03.05
무역뉴스, KITA.NET, [2021 산업별 전망], 탈통신 속도내는 이통사•••5G 대중화도 기대, 2020.12.30
Company Guide, “sk텔레콤”, 12월 결산, ttps://comp.fnguide.com/SVO2/ASP/SVD_Main.asp?pGB=1&gicode=A017670&NewMenuID=11&cID=&MenuYn=Y, 2022.05.30
김창수, FETV, [확 바뀌는 SKT멤버쉽, ‘마케팅 플랫폼 서비스’로 재탄생, 2021.06.30
남유현, 한국학술지인용색인, [통신서비스업의 6시그마 혁신: SK텔레콤 사례 연구], 통권 21호, 2010, p121-146
남상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서비스 이용 환경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p573-574
김선엽, 뉴스핌, [SK텔레콤, 주가하락에 자사주 매입 ‘빛바래’], 2015.12.18
박찬권, 한국기업경영학회, [이동통신 3사간 서비스품질, 고객만족도 및 고객충성도, 전환장벽 및 전환의도의 관계 비교: 20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2017
권경환, [KTF ‘SHOW’와 SKT ‘T’의 마케팅 분석과 3G시장의 향후
서종렬, 한국통신학회, [SKT의 휴대인터넷 사업전략 및 서비스 계획], 2004
SKT, “전략방향”, https://www.sktelecom.com/view/manage/intro.do, 2022.05.30
SKT, “전략방향”, https://www.sktelecom.com/view/manage/intro.do, 2022.05.30
서종렬, 한국통신학회, [SKT의 휴대인터넷 사업전략 및 서비스 계획], 2004
서종렬, 한국통신학회, [SKT의 휴대인터넷 사업전략 및 서비스 계획], 2004
서종렬, 한국통신학회, [SKT의 휴대인터넷 사업전략 및 서비스 계획], 2004
Catch, “SK기업보고서”, https://www.catch.co.kr/Comp/AnalysisCompView?ID=1279, 2022.05.30
Catch, “SK기업보고서”, https://www.catch.co.kr/Comp/AnalysisCompView?ID=1279, 2022.05.30
Catch, “SK기업보고서”, https://www.catch.co.kr/Comp/AnalysisCompView?ID=1279, 2022.05.30
Catch, “SK기업보고서”, https://www.catch.co.kr/Comp/AnalysisCompView?ID=1279, 2022.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