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류문화 수출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류의 이해
1.1. 한류의 정의와 역사
1.2. 한류의 시대적 흐름
1.2.1. 한류 1.0
1.2.2. 한류 2.0
1.2.3. 한류 3.0
1.3. 한류의 성공 요인
1.3.1. 대중 문화 산업의 발전
1.3.2. 디지털 기술의 발달
1.3.3. 문화 교류와 다문화주의
1.4. 한류 현상에 대한 담론
1.4.1. 긍정적 관점
1.4.2. 부정적 관점
1.4.3. 국가 차원과 개인 차원
1.5. 한류의 미래와 과제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류의 이해
1.1. 한류의 정의와 역사
한류는 1990년대 말부터 드라마를 중심으로 아시아 각국에서 열풍을 일으켰고, 2000년대 중·후반부터는 한국 대중가요가 중국, 대만, 일본, 동남아 등 아시아를 중심으로 유럽과 북남미, 중동 지역, 일부 유럽까지 세계 각국에서 사랑을 받으며 드라마 한류 열풍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는 대중가요뿐만 아니라 한국어, 음식, 패션 등 한국문화가 전반적으로 확산되었다"". 한류라는 용어는 한국의 대중문화가 알려지면서 대만, 중국, 한국 등에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중국에서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열풍이 일기 시작하자 2000년 2월 중국 언론에서 이러한 현상을 표현하기 위해 '한류'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널리 알려졌다"".
1.2. 한류의 시대적 흐름
한류의 시대적 흐름은 크게 한류 1.0, 한류 2.0, 한류 3.0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류 1.0은 19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초반에 이르는 시기로, 한국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한류의 시작이다. 1991년부터 1992년까지 약 6개월간 방송된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를 시작으로 하여, 이후 한류 열풍이 기하급수적으로 확산되었다. 특히 2003년에 방송된 드라마 <겨울연가>는 일본에서 큰 인기를 끌며 "욘사마 배용준" 열풍을 일으켰고, 주요 촬영지인 남이섬에 많은 일본 관광객을 불러모았다. 이 시기의 한류는 주로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되었다.
한류 2.0은 200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 초반에 이르는 시기로, K-Pop을 중심으로 한 한류의 전성기이다. 동방신기, 소녀시대, 카라 등 K-Pop 아이돌 그룹의 인기가 크게 상승하면서 이들의 음반과 콘서트가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전역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특히 SNS와 유튜브 등 디지털 플랫폼의 발달로 인해 K-Pop 음악과 영상이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이 시기에는 한국 대중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한식과 한국어 등 다양한 한국 문화가 인기를 끌게 되었다.
한류 3.0은 2010년대 후반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기로, 한국 문화의 다양화와 세계화가 두드러지는 시기이다. 기존의 드라마, K-Pop 외에도 애니메이션, 웹툰, 영화, 게임 등 다양한 장르의 한국 콘텐츠들이 세계적인 인기를 끌게 되었다. 또한 한식, 한복, 한국어 등 한국의 전통문화와 일상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 시기에는 한류가 더 이상 특정 지역이나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1.2.1. 한류 1.0
한류 1.0은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한국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 한류 열풍을 의미한다. 1991년 MBC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가 중국 CCTV에서 방영되면서 첫 한류의 시작을 알렸으며, 이후 1997년 중국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드라마 <태양의 여자>를 시작으로 하여 한국 드라마가 아시아 각국에 빠르게 확산되었다. 특히 2003년 일본에서 방송된 드라마 <겨울연가>는 주연 배우 '배용준'을 중심으로 하는 "욘사마 현상"을 불러일으키며 한류 1.0의 절정기를 이루었다. 이 시기 한국 드라마의 진출은 중국, 일본, 대만 등의 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계기로 해당 국가의 한국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게 되었다. 또한 한국 드라마의 성공은 주연 배우들의 아시아 각국에서의 인기와 함께 한국 관광산업의 활성화로도 이어졌다. 이처럼 한류 1.0은 한국 드라마의 아시아 진출을 통해 시작되어 한국 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으로 확산된 초기 한류 현상을...
참고 자료
『한류의 영향에 관한 연구: 아시아 지역 문화콘텐츠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A Study on the Influence of Hanryu: Focusing on the Influences on the Culture Content in Asia』, 장옥수(2012)
『글로벌 한류 트렌드』, KOFICE(2018)
『2018 해외한류실태조사』,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2018)
『한류, 불타오르네!』, 유진투자증권, 미디어엔터 한상용(2018)
『콘텐츠 수출구조 분석 및 연관 산업에의 영향분석』, 정상철,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2)
『K-POP 한류의 성공요인분석과 한류 지속화 방안연구-스마트 미디어 기반 실감콘텐츠 활용을 중심으로=Sucess Factor Analysis of K-POP and A Study on sustainable Korean Wave-Focus on Smart Media based on Realistic Contents』, 조병철; 심희철(2015), p100~101
『한류관광 관련 연구동향 내용분석: KCI등재 및 등재후보지를 중심으로(2003년~2012년)=An Analysis of Trends in Research Related to Korean Wave(Hallyu) Tourism: Focused on the KCI Journals』, 김미경; 김보경(2014), p2~p4
『한류문화의 실태분석과 발전방안 연구』, 장미선(2012), p20~24, p49, p57~79
『한류를 알면 수출이 보인다-한류를 활용한 수출상품 마케팅, 4p전략을 중심으로-』, 홍지상; 박진우; 제현정; 최용민(2011)
『광고를 통한 한류방송콘텐츠 수익 제고 방안』, 문화체육관광부(2014)
“한류 콘텐츠, 별을 그리다”, 한류20년 대한민국 빅 콘텐츠,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46340&cid=42219&categoryId=58567
“가장 인기 있는 한류 콘텐츠는 케이팝 아닌 ‘OO’다”, 김고금평(2018.05.19.), 머니투데이, http://news.mt.co.kr/mtview.php?no=2018051700261464488
“[한류 콘텐츠가 살 길이다] 1. 한국형 문화콘텐츠 표준화가 시급하다”, 이문규(2016.09.28.), it DongA, http://it.donga.com/25143/
“OTT-인터넷을 통해 볼 수 있는 TV”, 네이버캐스트,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9352&cid=59088&categoryId=59096
“음식의 한류열풍을 선도하다. The Born”, 정진섭(2018.05.19.), 소비자평가, http://www.iconsumer.or.kr/news/articleView.html?idxno=7026
“[이전과 다른, 한류 3.0]한류의 태생적 한계와 대안”, 박정훈(2018.11.05.), 이코노믹리뷰,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348985
월간 창조산업과 콘텐츠플러스 -노준석 한국콘텐츠진흥원 미래전략팀장
삼성경제연구소 ‘新한류 지속발전을 위한 6대 전략’보고서
(표1)글로벌 한류 동향 및 활용 전략 -지식서비스사업팀
글로벌 한류 동향50호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그림1)한류 스토리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네이버 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