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장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장중첩증 (Intussusception)
1.1. 정의
1.2. 원인 및 위험요인
1.3. 병태생리
1.4. 증상
1.5. 진단적 검사
1.6. 치료 및 간호
1.6.1. 비수술적 치료
1.6.2. 수술적 치료
1.7. 예후
1.8. 간호중재
1.8.1. 증상 사정
1.8.2. 치료에 대한 정보 제공
1.8.3. 수술 전 간호
1.8.4. 관장 치료 후
1.8.5. 회복 후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장중첩증 (Intussusception)
1.1. 정의
장중첩증은 장이 말려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소장에서 대장으로 넘어갈 때 갑자기 굵어지므로, 소장의 맨 아랫부분인 회장이 대장 앞에 있는 맹장으로 말려 들어가는 경우가 가장 많다. 흔히 상부 장이 하부장 속으로 말려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회맹부가 대장 안으로 말려들어가는 것이 95% 정도로서 흔하다. 장운동과 일치하는 극심한 통증과 기계적 폐색 증상이 시작되고 수 시간 내 장간막 혈류의 교맥현상으로 정맥울혈 및 부종을 동반한다. 대부분 24시간 내에는 감돈이 발생하지는 않으나 나중에는 장 괴저 및 쇼크에 빠질 수 있다. 이 질환은 여아보다 남아에게 빈발한다.
1.2. 원인 및 위험요인
장중첩증의 원인 및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장중첩증의 원인을 확실하게 알 수 없는 경우가 95%를 차지한다. 영유아 회장 말단의 두께의 차이가 크거나, 이 부위의 임파절 조직이 두꺼워져서 장중첩증이 발생할 수 있다. 장염, 식이 변화 및 장 알레르기 반응 때문에 장의 운동이 증가하여 일어나기도 한다. 약 5% 정도는 국소 해부학적인 원인으로 메켈 게실, 낭종성 중복회장, 용종, 림프종, 출혈성 질환에 의한 혈종 등에 의해 생긴다. 재발성 장중첩증은 5~8% 정도이며, 나이가 많은 경우에 재발 비율이 더 높다고 한다.
장중첩증의 80% 정도는 생후 6개월부터 2세 사이의 소아에서 발생하며, 만 2세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또한 3:2 정도의 비율로 남아에게 더 잘 발생한다. 환절기에 잘 발생하며, 건강하고 살이 찐 영유아에게 갑자기 발생한다."
1.3. 병태생리
장중첩증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장중첩증은 장의 근위부가 원위부로 함입되거나 말려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가장 흔한 위치는 회맹부로서, 회장이 맹장과 결장 안으로 들어간다. 장의 근위부가 상위는 하위로 밀려들어가고 장간막은 장의 관강으로 들어가 장폐쇄를 일으킨다. 장벽이 서로 압력을 가해서 염증, 부종 및 혈류의 감소를 일으킨다. 점막출혈이 일어나 혈변이 되고 점액이 포함된다. 장이 중첩된 부분의 끝은 횡행결장, 하행결정, S상결장, 항문 주위로 확대될 수 있다. 어떤 경우는 저절로 장이 환원되기도 하나 장의 감돈이 24시간 후에 생기기도 한다. 장의 괴사나 천공은 복막염이나 사망을 초래한다. 대변이 폐색 부위를 넘어가기 어렵기 때문에 주로 혈액과 점액으로 구성된 젤리 모양의 변을 보게 된다. 감돈이 계속되면 괴사로 인해 출혈이나 천공을 초래하여 복막염을 일으킨다."
1.4. 증상
건강하던 아이가 갑자기 심한 복통으로 자지러지듯이 울며 다리를 배 위로 끌어당기는 것이 장중첩증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이다."" 이때 구토를 동반하기도 한다. 1~...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list.naver?cid=51007&categoryId=51007
2021.9.30. 인출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731&cid=51007&categoryId=51007
(간호학대사전, 1996. 3. 1., 대한간호학회) 2021. 9. 24. 인출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495589&cid=60408&categoryId=58529
(이우주 의학사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2021. 9. 30. 인출
에듀 문항평가개발위원회(2020), 필통 아동간호학, 에듀팩토리, 197-210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저자/제공처 서울대학교병원 https://tv.naver.com/snuh
장중첩중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2021.9.30. 인출
약학정보원 www.health.kr 2021.09.30. 인출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2(개정판)(양장본 HardCover)
저자 김영혜|역자 김영혜|수문사 |2019.02.09
유해정 외, (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제 2판, 현문사, 310-313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 상, 하 / 박은숙 외/ 현문사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 국제간호진단협회 / 정담미디어
소아과학 홍창의편 / 홍창의 / 대한교과서
KMLE Korean medical library engine
KIMS
홍경자 외(2012), 영아와 아동을 위한 아동간호학 : 수문사, p1473
김미예 외(2008), 아동의 건강문제와 간호 : 군자출판사, p92
김영혜 외(2014),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p375
김완성 저(2011), 소아 장중첩증의 임상적 고찰, 관동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867&cid=51004&category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