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분만 1기, 2기, 3기, 4기 대상자의 간호
분만 1기, 2기, 3기, 4기 대상자의 간호는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분만 1기에는 진진통의 증상과 징후, 자궁 수축의 기간, 강도, 간격, 자궁 경관의 소실과 개대, 태반박리증후, 산후출혈 증상 등을 사정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분만 1,2,3,4기에 대한 간호중재로 산모에게 30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상황에 따른 라마즈 호흡법을 설명하며, Leopold's maneuver를 통해 태아의 태향과 진입상태를 확인하고, 태아심음을 청취하여 태아의 상태를 사정할 수 있어야 한다. 더불어 관장과 회음부 준비, 불안 해소를 위한 간호, 제대 결찰 및 혈관 관찰, 자궁수축정도 사정, 산후교육 등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분만 1기에는 진진통의 증상과 징후를 사정하여 진행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진진통은 규칙적이고 강도가 증가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와 더불어 자궁 수축의 기간, 강도, 간격을 사정하여 분만 진행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자궁 경관의 소실과 개대 정도, 태반박리증후, 산후출혈 증상 등을 사정함으로써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분만 1,2,3,4기에 대한 간호중재로는 첫째, 산모의 활력징후를 30분마다 측정하여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한다. 둘째, 상황에 따른 라마즈 호흡법을 설명하여 산모가 효과적으로 호흡할 수 있도록 돕는다. 셋째, Leopold's maneuver를 통해 태아의 태향과 진입상태를 확인하여 분만 진행 상황을 파악한다. 넷째, 태아심음을 청취하여 태아의 상태를 사정한다. 다섯째, 관장과 회음부 준비를 실시하여 분만 과정을 원활하게 돕는다. 여섯째, 분만 진행 상황을 산모에게 알려줌으로써 불안감을 감소시킨다. 일곱째, 제대를 결찰하고 혈관을 관찰하여 태아의 상태를 확인한다. 여덟째, 자궁의 위치와 수축정도를 사정하여 분만 진행을 모니터링 한다. 마지막으로 산후 교육을 통해 산모의 회복을 도와준다.
1.1. 분만 1,2,3,4기의 진행을 사정할 수 있다.
1.1.1. 진진통의 증상와 징후에 대해 사정할 수 있다.
진진통의 증상과 징후에 대해 사정할 수 있다는 것은 분만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분만 과정을 사정할 수 있는 중요한 간호 활동이다.
임부는 진진통 시 규칙적인 자궁수축과 함께 복부 통증과 불편감을 호소하게 된다. 자궁수축의 강도, 지속 시간, 빈도 등을 사정하여 분만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질 분비물의 양상 변화, 요의 증가, 배변감, 회음부 압박감 등의 증상을 호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진진통 시 임부는 규칙적이고 점점 강해지는 자궁 수축을 경험하게 된다. 수축의 강도는 자궁이 단단해지는 정도와 임부가 호소하는 통증의 정도로 사정할 수 있다. 또한 수축의 지속시간은 30-60초 정도로 점점 길어지고, 수축의 빈도도 점점 짧아져 4-5분 간격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와 함께 질 분비물의 양상 변화도 확인할 수 있다. 점액질의 점액 덩어리가 관찰되다가 점점 혈성으로 변하게 되며, 양도 점점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자궁경관이 열리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 외에도 임부는 배뇨감, 배변감, 회음부 압박감 등을 호소하게 되는데, 이는 태아가 골반강 내로 하강하면서 일어나는 증상들이다.
간호사는 이러한 진진통의 증상과 징후를 사정함으로써 분만 진행 상황을 확인하고, 적절한 분만 간호 중재를 수행할 수 있다.
1.1.2. 자궁 수축의 기간, 강도, 간격을 사정할 수 있다.
자궁 수축의 기간, 강도, 간격을 사정하는 것은 분만 과정을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자궁 수축은 분만 진행 및 태아 상태를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이기 때문이다.
우선, 자궁 수축의 기간이란 수축이 시작되어 이완되는 데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정상적으로는 30~60초 정도 지속되며, 분만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길어진다. 자궁 수축의 강도는 자궁벽의 수축 정도로, 산모의 배를 만져보거나 관찰하여 판단할 수 있다. 분만초기에는 약하고 불규칙적이었다가 분만 후기로 갈수록 점점 강해지고 규칙적이 된다. 자궁 수축의 간격은 한 수축이 끝나고 다음 수축이 시작되기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초기에는 10~20분 정도였다가 분만이 진행됨에 따라 점점 짧아져 마지막에는 2~3분 간격으로 나타나게 된다.
간호사는 이러한 자궁 수축의 특성을 정확히 사정하고 기록해야 한다. 자궁 수축의 변화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분만 과정의 진행 정도를 평가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자궁 수축이 충분하지 않다면 옥시토신 투여 등의 중재가 필요하고, 수축이 과도하다면 이완을 위한 중재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자궁 수축의 양상을 통해 태아의 상태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자궁 수축의 기간, 강도, 간격을 정기적으로 사정하고 기록하는 것은 분만 과정에서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인 nursing assessment라고 할 수 있다.
1.1.3. 자궁 경관의 소실, 개대를 사정할 수 있다.
자궁 경관의 소실, 개대를 사정하는 것은 분만 과정 중 매우 중요한 간호 수행이다. 분만 1기에 경관은 서서히 열리기 시작하여 완전 개대까지 진행되며, 이를 확인하는 것은 분만 진행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는데 필수적이다.
먼저 자궁 경관의 소실은 임신 중 경관이 길게 유지되다가 분만 시작과 함께 점차 짧아지는 과정을 의미한다. 자궁경관은 분만 초기에는 약 3-4cm의 길이를 가지다가 분만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짧아져 완전 개대 시에는 완전히 소실된다. 이는 자궁경관이 자궁수축의 힘으로 인해 밀리면서 동시에 개대되는 과정이다.
자궁 경관의 개대는 자궁경관이 열리는 정도를 말하며, 내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정상적인 분만 진행 과정에서 자궁경관은 서서히 개대되어 완전 개대 시에는 10cm에 이르게 된다. 초기에는 약 1-2cm 정도 개대되다가 분만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개대 정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간호사는 정기적인 내진을 통해 자궁경관의 소실 정도와 개대 정도를 사정해야 한다. 이를 통해 분만 진행 상황을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수행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