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외과중환자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중환자실 실습 및 환자 관찰
1.1. 중환자실 실습 경험 및 인상
1.2. 중환자 간호 관찰
1.3. 장기이식 환자 간호 관찰
1.4. 뇌사자 간호 관찰
1.5. 특수 감염 환자 간호 관찰
2. 중환자 간호 관련 이론
2.1. 호흡기계 환자 간호
2.2. 심장계 환자 간호
2.3. 무의식 환자 간호
2.4. 뇌압 상승 환자 간호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중환자실 실습 및 환자 관찰
1.1. 중환자실 실습 경험 및 인상
중환자실 실습은 기존 병동과는 다른 긴장되고 긴급한 분위기 속에서 이루어졌다. 간호사와 의사들이 신속하게 움직이며 환자들을 집중 관리하는 모습을 보며, 중환자에게 제공되는 전인적이고 주체적인 간호에 큰 매력을 느꼈다.
특히 중환자실 환자들의 다양한 상태와 중증도를 직접 접하면서, 환자 상태에 맞는 빠른 판단과 복합적인 간호중재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의식이 없는 환자들에게도 계속해서 말을 걸며 간호를 제공하고, 시간과 장소를 알려주는 등의 작은 행동이 환자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깨달았다.
또한 보호자와 환자 간의 애틋한 모습을 보며, 간호사로서 환자와 보호자 모두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자세가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다. 중환자실에서의 경험을 통해 전인적 간호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고, 앞으로 어떤 파트에서 근무하더라도 이를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가 생겼다.
1.2. 중환자 간호 관찰
중환자 간호 관찰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환자실에서 실습을 하면서 학생들은 중환자들에 대한 간호를 직접 관찰할 수 있었다. 중환자실은 병동과는 달리 매우 긴박한 분위기가 존재하며, 중증 환자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집중적이고 세심한 간호가 필요하다. 특히 기관 삽관이나 중심정맥관 등의 다양한 의료 기기들이 부착되어 있어 이에 대한 관찰과 관리가 중요했다.
중환자들에게는 호흡 곤란, 심혈관 문제, 의식 저하 등 다양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모니터링과 신속한 대응이 필요했다. 응급상황 발생 시 의료진들의 신속한 대처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환자 상태를 안정화시키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혈압, 맥박, 호흡, 산소포화도 등의 활력징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필요에 따라 산소요법, 약물 투여 등의 중재를 제공하는 것을 보았다.
중환자실 내에서는 감염 관리에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했다. 의료진들은 표준주의와 접촉주의, 공기주의 등의 각종 격리 지침을 철저히 준수하며 중환자들을 보호하고 있었다. 특히 장기이식 환자나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들의 경우 더욱 엄격한 감염 관리가 이루어졌다. 학생들은 이러한 과정을 직접 관찰하며 중환자실 간호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무의식 상태의 중환자들에 대한 간호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들에게는 Glasgow Coma Scale을 이용한 신경학적 평가와 함께 개인위생 관리, 진정 및 섬망 관리, 통증 사정 등이 이루어졌다. 중환자실에서는 이러한 다각도의 간호 중재가 필수적이었다.
이처럼 중환자실 실습을 통해 학생들은 중증 환자들에 대한 집중 치료와 전인적 간호의 실제를 경험할 수 있었다. 호흡기, 심혈관, 신경학적 문제를 가진 중환자들에 대한 세심한 간호와 관찰, 응급상황 대처, 감염 관리, 무의식 환자에 대한 전인적 돌봄 등 중환자실 간호의 다양한 측면을 직접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중환자 간호에 대한 이해와 실무 역량을 기를 수 있었다.
1.3. 장기이식 환자 간호 관찰
장기이식 환자 간호 관찰""은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이식 전 검사부터 수술 후 집중관리, 이식 후 관리까지 다양한 간호 활동이 요구된다. 중환자실 실습을 통해 장기이식 환자의 간호 과정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었다.
먼저 장기이식 수술 전 검사로는 ABO 혈액형 검사, HLA 적합성 검사, HLA cross matching, 항체선별검사 등이 시행된다. 이는 이식 장기와 수혜자 간의 조직 적합성을 확인하여 거부반응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간이식의 경우 선천성 담관 폐쇄, 선천성 대...
참고 자료
핵심 기본간호수기 제2판(양선희 외 공저, 현문사)
프셉마음-호흡기 간호 입문편(김지인, 드림널스)
암또의 임상노트 vol. 1(암또, 포널스)
김경남, 김철호 외(2012), 한국어판 간호 섬망 선별 도구 개발 및 검증, J Korean Acad Nurs Vol.42 No.3, 414-423
약학정보원. (2020, June 19). Retrieved October 18, 2020, from http://www.health.kr/main.asp
항트롬빈. (n.d.). Retrieved October 18, 2020, from https://labtestsonline.kr/tests/antithrombin
임상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항응고제. (n.d.). Retrieved October 18, 2020, from https://sev.iseverance.com/heart/health_info/education/normal/view.asp?con_no=7215
Winter, J. and Winter, J., 2020. ECG Educator Blog. [online] Ecg-educator.blogspot.com. Available at: [Accessed 17 October 2020].
삼성서울병원. (n.d.). 약제부: 삼성서울병원. Retrieved November 29, 2020, from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PH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n.d.). Retrieved November 29, 2020, from http://amc.seoul.kr/asan/healthinfo/easymediterm/easyMediTermDetail.do?dictId=766
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 관상동맥센터. (n.d.). Retrieved November 30, 2020, from http://sev.iseverance.com/heart/dept_clinic/center/coronary_center/faq/view.asp?con_no=47162
Intracranial Pressure(ICP) Monitoring, 두개내압 감시 및 측정. (n.d.). Retrieved November 29, 2020, from https://m.blog.naver.com/lhc930102/221194061460
Ventriculostomy Surgery Delhi: Micro Endoscopic Surgery India. (n.d.). Retrieved November 29, 2020, from https://www.thebrainandspine.com/ventriculost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