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임상적 추론을 위한 연습(간호과정 적용)
1.1. 신체검진과 간호중재
1.1.1. 철분결핍성 빈혈
28세 임산부인 김씨는 빈혈증세가 심하여 혈액 검사를 시행한 결과 혈색소 7g/dL, RBC 3,500,00/ {mm}^{3}, WBC 7,000/ {mm}^{3}로 흙을 집어먹고 싶어서 가끔 먹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손톱은 잘 부스러지며 수저(spoon) 모양으로 되어 있다.
철분결핍성 빈혈은 생리적 요구량에 비해 철분 섭취가 부족하여 나타나는 질환으로, 주로 여성과 어린이에게서 발생한다. 철분은 적혈구 내 헤모글로빈 합성에 필요한 필수 성분이므로, 철분 부족 시 적혈구 생성이 저하되어 빈혈이 발생하게 된다.
김씨의 경우 임신으로 인한 철분 요구량 증가, 불충분한 식이섭취, 잦은 흙 섭취 등으로 인해 철분 결핍성 빈혈이 유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철분 결핍성 빈혈 환자에게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창백한 피부와 점막, 피로감, 어지러움, 두통, 손톱 변형, 구내염 등이 있다.
간호사는 철분 결핍성 빈혈 환자의 증상을 사정하고 이에 따른 간호중재를 수행해야 한다. 우선 환자의 신체 검진을 통해 창백한 피부와 점막, 수저 모양 손톱 등의 증상을 확인한다. 또한 혈액 검사 결과 분석을 통해 혈색소, 적혈구 수, 적혈구 지수 등의 수치를 확인하여 빈혈의 정도를 사정한다.
이와 더불어 환자의 식이섭취, 장출혈, 월경과다 여부 등 철 결핍의 원인을 파악한다. 특히 임산부의 경우 태아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철분 요구량이 증가하므로 면밀한 사정이 필요하다.
간호중재로는 우선 철분제 투여를 통한 철분 보충이 필수적이다. 철분제는 경구 또는 정맥 투여로 이루어지며, 위장관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식사 중 투여하는 것이 좋다. 또한 철분 흡수를 돕기 위해 비타민 C 섭취를 병행한다.
식이 관리 또한 중요한데, 철 함량이 높은 육류, 해산물, 콩류, 녹색 채소 등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동시에 차, 커피, 우유 등 철 흡수를 방해하는 음식은 피하도록 한다.
이 외에도 피로감 감소를 위한 충분한 휴식, 빈혈로 인한 어지러움 예방을 위한 자세 변경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또한 정기적인 혈액 검사를 통해 빈혈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추가적인 중재를 제공해야 한다.
종합적으로 철분 결핍성 빈혈 환자에 대한 간호는 철분 보충, 식이 관리, 증상 완화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 회복을 도모할 수 있다.
1.1.2. 급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골수 내 미성숙한 백혈구인 골수모세포(골수 전구세포)가 급격히 증식하는 질환이다. 이 골수모세포는 정상적인 성숙 과정을 거치지 않고 빠르게 증식하여 정상적인 골수구성 세포들을 대체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정상적인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의 생산이 감소되어 빈혈, 감염, 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성인 백혈병의 80%를 차지하며 연간 인구 10만 명당 3-5명 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주로 급격한 증상 발현으로 특징지어지는데, 피로감, 발열, 출혈, 감염 등의 증상이 빠르게 진행된다. 환자들은 대개 백혈구 증가, 빈혈, 혈소판 감소 등의 말초혈액 이상 소견을 보인다. 또한 간, 비장, 림프절 종대 등의 신체검진 소견도 관찰될 수 있다. 진단을 위해서는 골수 검사가 필수적이며, 염색체 검사 및 유전자 검사 등을 통해 아형을 분류하게 된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치료는 관해 유도 화학요법과 공고 화학요법, 조혈모세포 이식 등으로 이루어진다. 관해 유도 화학요법은 급성기 증상을 완화시키고 완전 관해를 유도하는 것이 목적이며, 공고 화학요법은 재발을 예방하고자 하는 것이다. 조혈모세포 이식은 재발 위험이 높거나 표준 치료에 반응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