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활동 놀이하는 인간 호모 루덴스

  • 1
  • 2
  • 3
  • 4
  • 5
  • 6
>

상세정보

소개글

"청소년활동 놀이하는 인간 호모 루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놀이와 레크리에이션
2.1. 놀이의 개념 및 중요성
2.2. 레크리에이션활동의 역할

3. 청소년의 게임문화
3.1. 게임의 종류
3.2. 청소년 게임문화의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
3.3. 청소년기의 발달 특성과 게임문화

4. 건전한 게임문화 조성을 위한 방안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산업화시기 때부터 노동의 중요성을 강조했던 우리나라는 이제 성과주의에서 벗어나 점차 여가와 놀이의 중요성에 대해 눈을 돌리고 있다. 놀이의 효과와 중요성을 설파하는 연구결과와 저서들도 많이 나오고 있다. 다수의 놀이 관련 연구결과에 따르면 어린 시절 놀이를 많이 한 사람일수록 문제해결력, 회복탄력성, 내적동기, 타인에 공감하는 능력, 몰입 능력과 열정, 회복탄력성 등의 스킬들을 자연스럽게 기를 수 있다. 놀이의 효과에 점차 공감하는 학부모들은 많아지고 있지만 정작 아이들이 놀 수 있는 장소는 부족하다. 수도권에 몰려 사는 대한민국 학부모 입장에서는 이른바 '빌딩숲'과 아파트 단지로 빽빽하게 채워진 공간에서 다양한 놀이 공간을 찾는 것이 어렵다. 또한 맞벌이 가정이 상당수이기 때문에 과거 부모 세대에 비해 놀아줄 시간도 부족하고, 놀아주는 방법 또한 잘 모르는 게 현실이다. 그런 점에서 최근 서울시의 키즈카페 설치 시도는 고무적이다. 서울시는 서울시 내의 동별로 1곳씩 '서울형 키즈카페'를 설치하고자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놀 수 있는 공간이 없는 아이들에게 공간을 마련해주고자 하는 이러한 시도는 아이들에게 놀이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정부 기관에서도 크게 공감하는 바에서 우러나온 행정일 것이다.


2. 놀이와 레크리에이션
2.1. 놀이의 개념 및 중요성

놀이는 인간이 행하는 신체적, 정신적인 모든 활동을 의미하는데, 여기서 인간의 생존과 관련 있는 것들은 제외된다. 즉 어떠한 목적이나 이해관계를 떠나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활동으로서 즐거움을 동반하는 인간 활동이다.

학자들은 오래전부터 놀이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밝혀왔다. 특히 J. 호이징가(Huizinga, Johan)는 인간을 '호모 루덴스(homo ludens)'라고 정의하며, 놀이의 개념을 학문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최초의 학자이다. 그는 인간의 유희적 본성을 강조하며 놀이가 문화의 본질이며,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 또한 하비 콕스(Harvey Cox)는 인간이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 사고하는 인간)'일 뿐만 아니라 '호모 루덴스(homo ludens, 놀이하는 인간), 호모 페스티부스(homo festivus, 축제하는 인간), 호모 판타지아(homo fantasia, 환상적인 인간)'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학자들은 놀이가 인간의 발달과 문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해왔다.

놀이는 인간의 다면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심리학자 프로이드(Freud)는 놀이를 통해 인간이 무의식적인 동기와 본능적인 충동을 배출할 수 있다고 보았고, 에릭슨(Erikson)은 놀이가 정상적인 성격 발달에 기여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놀이는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지적 발달에 도움을 준다. 신체적 발달 측면에서 오감을 활용하는 놀이는 감각기능을 활성화시키며, 사회적 발달 측면에서는 인간...


참고 자료

[서울인싸] 사회가 아동에게 꼭 찾아줘야 할 놀이 공간/김명순 연세대 아동가족학과 명예교수, 김명순, 서울신문, 2022.11.10,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3&wlog_tag3=naver
[홍순철의 글로벌 북 트렌드] 놀이를 멈추는 순간, 우리는 늙기 시작한다, 홍순철, 한국경제신문, 2022.10.01, https://www.hankyung.com/life/article/*************
'놀이'에 대한 설명, 문학비평용어사전, 한국문학평론가협회, 국학자료원, 2006
'하위징아: '호모 루덴스'' 항목, 축제 이론, 류정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로저 카유아: '놀이와 인간의 정체성'' 항목, 축제 이론, 류정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놀이에도 이론이 있다 (2) 프로이트와 에릭슨의 현대 놀이이론 : 놀이에는 어떤 기능이 있을까?, 공익정보/자료, 아카이브,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https://www.snpo.kr/bbs/board.php?bo_table=npo_aca&wr_id=74120
교육부, 놀이, 아이 성장의 무한공간, 2016.02.05,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312&boardSeq=62211&lev=0
오은영 박사 “아이와 노는 게 재미없다? 놀이에 대한 생각을 바꿔야 합니다”, 서미영, 조선일보, 2022.08.10, https://digitalchosun.dizzo.com/site/data/html_dir/2022/08/10/*************.html
놀이도 정책이 될 수 있나요? - 영국 웨일즈의 사례, 공익정보/자료, 아카이브, 서울시공익활동지원센터, https://www.snpo.kr/bbs/board.php?bo_table=npo_aca&wr_id=4751
박수정, 여가학 개론, 인하대학교출판부, 2004
김성희, 현대사회의 여가와 레크리에이션, 백산출판사, 2020
문화체육관광부,한국콘텐츠진흥원 - 2022 대한민국 게임백서 조사 , 2022.04.18. 한국콘텐츠진흥원 보도자료 “건전하게 게임 즐기는 이용자 10년간 지속 증가”
신순영, 김창석 컴퓨터 게임의 이용행태가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02, vol.5, no.2, pp. 79-90 (12 pages)
https://namu.wiki/w/%EA%B8%B0%EB%8A%A5%EC%84%B1%20%EA%B2%8C%EC%9E%84 (나무위키 기능성게임 최근 수정 시각: 2023-06-04 03:56:15)
SportsW 스포츠산업 미디어/게임 임가을 기자 기사승인 : 2022-01-28 12:07:51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 '2021년 한국 게임이용자 조사' 결과 발표
정의준 '게임이용자패널 4차 연도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