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사회성숙도검사 소개
1.1. 명칭 및 개요
사회성숙도검사는 "사회성숙도검사"라고 명칭되며, 저자는 金承國, 金玉岐이고 출판사는 중앙적성출판사에서 1985년 초판으로 발행되었다. 이 검사는 사회성이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인식하고 적응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개인의 성장 또는 변화를 측정하고 혹은 치료나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나 교육 후 향상을 측정하는 것으로 정신지체 여부나 그 정도를 판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1.2. 검사 목적 및 연령
사회성숙도검사의 목적은 자조, 이동, 작업, 의사소통, 자기관리, 사회화 등과 같은 변인으로 구성되는 사회적 능력(social competence), 즉 적응 행동(adaptive behavior)을 평가 혹은 측정하는 척도를 표준화하는 데 있다."
이 검사는 0세부터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에게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0-30세의 유아에서 성인을 대상으로 자조, 이동, 작업, 의사소통, 자기관리, 사회화 등과 같은 변인으로 구성되는 사회적 능력, 즉 적응행동을 평가 혹은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3. 검사 구성요소
사회성숙도검사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검사는 자조, 이동, 작업, 의사소통, 자기관리, 사회화 등 6개의 유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117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유목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자조 유목은 일반적 자조(SHG), 식사(SHE), 용의(SHD) 등 3개 영역의 39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 자조 문항은 이동의 예비적 단계, 조작능력, 대소변, 이동능력, 자기관리능력, 의사소통능력 등을 측정한다. 식사 자조 문항은 음료 관련, 식사도구 사용, 통제력과 판별력, 전반적인 종합력 등을 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