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설탕 효모 발효 실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당의 종류에 따른 발효 비교
1.1. 포도당과 효모의 알코올 발효
1.1.1. 포도당의 세포내 흡수 및 이용
1.1.2. 알코올과 이산화탄소 생성
1.2. 설탕의 알코올 발효
1.2.1. 설탕의 포도당과 과당으로의 가수분해
1.2.2. 가수분해 과정이 발효 속도에 미치는 영향
1.3. 갈락토오스의 발효 특성
1.3.1. 효모의 갈락토오스 이용 능력 확인
1.3.2. 실험 시간 부족으로 인한 결과 미관찰
2. 호기성과 혐기성 조건에 따른 발효
2.1. 호기성 조건 하에서의 세포 호흡
2.2. 혐기성 조건 하에서의 알코올 발효
2.3. 산소 공급 제한의 필요성
3. 발효의 실생활 적용
3.1. 알코올 발효를 이용한 술 제조
3.2. 젖산 발효를 이용한 치즈와 요구르트 제조
3.3. 과도한 알코올 발효의 부작용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당의 종류에 따른 발효 비교
1.1. 포도당과 효모의 알코올 발효
1.1.1. 포도당의 세포내 흡수 및 이용
포도당은 단당류로, 세포에서 에너지를 얻기 위해 가장 먼저 활용되는 물질이다. 효모는 탄소원으로 포도당을 주로 사용하므로, 포도당이 세포 내로 흡수되어 이용되는 과정은 알코올 발효에서 매우 중요하다.
포도당은 세포막에 있는 특수한 수송단백질을 통해 세포 내로 흡수된다. 수송단백질은 포도당을 세포 내로 능동적으로 이동시킨다. 세포 내에서 포도당은 해당과정을 거치면서 에너지가 발생하게 된다. 해당과정은 세포질 내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화학반응으로, 포도당이 최종적으로 피루브산으로 산화되는 과정이다.
피루브산은 미토콘드리아 내부로 들어가 TCA 회로와 산화적 인산화 과정을 거쳐 완전 산화되어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될 수도 있고, 혐기성 조건에서는 효모의 무기호흡인 알코올 발효 과정을 통해 에탄올과 이산화탄소로 전환될 수도 있다.
이처럼 포도당은 효모 세포 내로 능동적으로 흡수되어 해당과정을 통해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며, 최종적으로는 알코올 발효 과정에서 에탄올과 이산화탄소를 생성하게 된다.
1.1.2. 알코올과 이산화탄소 생성
알코올과 이산화탄소 생성이다.
포도당에 대한 효모의 알코올 발효 과정은 다음과 같다. 포도당이 세포 내로 흡수되면 해당 과정을 거치면서 피루브산이 생성된다. 이후 피루브산은 이산화탄소와 에탄올로 분해되는데, 이때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구체적인 반응식은 C6H12O6 → 2C2H5OH + 2CO2이다. 이처럼 포도당이 알코올 발효를 거치면 최종적으로 2분자의 에탄올과 2분자의 이산화탄소가 생성된다. 이산화탄소는 기체 형태로 나오게 되어 발효량을 측정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생성된 에탄올은 술이나 다른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효모의 포도당 알코올 발효는 에탄올과 이산화탄소를 생산하는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1.2. 설탕의 알코올 발효
1.2.1. 설탕의 포도당과 과당으로의 가수분해
설탕은 이당류로 포도당과 과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효모에는 이당류인 설탕을 포도당과 과당으로 분해시켜주는 효소가 있기 때문에 효모에 의해 분해가 가능하다. 효모는 먼저 설탕을 가수분해하여 포도당과 과당으로 분해한 후, 이를 이용하여 알코올 발효를 진행한다. 이때 포도당은 효모에 직접 이용되지만 설탕은 가수분해 과정을 거치므로 발효 속도가 포도당보다는 늦게 나타난다. 따라서 설탕의 가수분해 과정이 알코올 발효 속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1.2.2. 가수분해 과정이 발효 속도에 미치는 영향
설탕의 경우 이당류로, 효모에 의해 포도당과 과당으로 가수분해되어야 발효가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반해 포도당은 단당류로서 세포막 수송체를 통해 직접 세포 내로 흡수되어 발효에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가수분해 과정이 필요한 설탕의 경우 그렇지 않은 포도당에 비해 발효 속도가 느리다고 할 수 있다.
설탕은 ...
참고 자료
Taylor, Simon, Dickey, Hogan, Reece/2019년/생명과학/라이프사이언스/9판/p. 40-43, 85, 94-95, 104-105
주충노/2001년/생명과학의 현대적 이해/연세대학교 출판부/2판/p. 110-111
Campbell biology 10th edition / 7장 세포 호흡
제 55회 전국과학 전람회 / ‘ 알코올 발효 실험의 정확한 측정에 대한 탐구 지도’
Journal of forensic science society / Intragastrointestinal Alcohol Fermentation Syndrome: Report of Two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 pp. 461 – 471
식품미생물학 / 유태종 외 7인 / pp. 154 –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