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저혈량성 쇼크 간호진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저혈량성 쇼크(Hypovolemic Shock)
1.1. 정의 및 원인
1.2. 병태생리
1.3. 증상
1.4. 진단검사
2. 간호과정
2.1. 간호사정
2.2. 간호진단
2.3. 간호목표
2.4. 간호계획
2.5. 간호수행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저혈량성 쇼크(Hypovolemic Shock)
1.1. 정의 및 원인
저혈량성 쇼크는 전신 순환혈액량의 감소로 인한 쇼크 상태를 의미한다. 혈량이 감소하여 심장으로 귀환되는 정맥혈량이 줄어들면서 전부하, 일회 심박출량, 심박출량이 감소하게 된다. 그 결과 조직관류 저하와 세포 대사부전이 나타나게 된다.
저혈량성 쇼크의 주된 원인으로는 출혈성 쇼크와 체액 손실로 인한 쇼크를 들 수 있다. 출혈성 쇼크는 전혈을 다량 소실하여 전신 순환혈액량이 부족한 경우를 말한다. 15-20%의 혈량 소실이 있을 때 정맥압 감소, 말초저항의 증가, 빈맥 등의 쇼크 증상이 나타난다. 체액 손실로 인한 쇼크는 패혈증으로 모세혈관 투과도가 증가하여 혈관에서 간질공간으로 체액이 이동하거나 장폐색으로 인한 복수, 화상 등과 같이 체액이 제3의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혈량이 감소하는 경우를 말한다.
1.2. 병태생리
저혈량성 쇼크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포손상으로 인한 조직으로의 산소공급 부족이 발생한다. 전신 순환혈액량의 감소로 인해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면 세포 대사와 기능이 장애를 받게 된다. 이로 인해 혈액 내 젖산이 축적되고, 대사성 산증이 발생하여 세포 손상 및 괴사가 일어나게 된다.
둘째, 신경호르몬계 반응이 나타난다. 부신수질에서는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이 분비되어 신체 주요기관으로의 혈류량은 늘어나지만 말초조직으로의 혈류량은 감소하게 된다. 또한 부신피질에서는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조절하는 코르티코이드가 분비된다. 뇌하수체에서는 수분과 염분 균형을 조절하는 알도스테론과 항이뇨호르몬이 분비되며, 신장에서는 레닌-엔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가 활성화된다.
셋째, 대사반응이 나타난다. 당류코르티코이드인 하이드로코티존이 에너지 저장을 변화시켜 쇼크 초기에 신체에 저장되어 있던 탄수화물이 고갈되고, 이로 인해 단백질과 지방의 분해가 일어나 에너지를 얻게 된다. 이 과정에서 당의 신생작용과 기아로 인해 단백질의 이화작용과 질소불균형이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병태생리적 변화로 인해 저혈량성 쇼크 환자는 혈압 저하, 빈맥, 빈호흡, 핍뇨 등의 증상을 보이게 된다.
1.3. 증상
저혈량성 쇼크의 주요 증상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 심한 저혈압이 나타난다. 쇼크가 진행됨에 따라 혈압이 점점 낮아져 수축기압이 80mmHg 이하로 떨어지는 특징을 보인다.
둘째, 빈맥이 관찰된다. 체액량 감소로 인해 심장의 충전이 어려워지면서 심박동수가 증가하게 된다. 쇼크 초기에는 맥박수가 100회/분 이상으로 빨라지고, 쇼크가 진행됨에 따라 최대 14...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현문사 제7판 성인간호학 상권 《발 행 : 2019년 1월 15일 / 대표 저자 : 확옥남, 유양숙, 조경숙 외 6명》
2020년 대비 에듀팩토리 성인간호학 2 간호학 핵심요약집《발 행 : 2019년 3월 15일 / 발행인 : 유혜정》
퍼시픽북스 사례를 통해 배우는 응급과 재난간호학 《발 행 : 2013년 3월 / 대표 저자 : 김동옥, 윤희장, 이경희 외 공저》
이향련 외 7인(2007),성인간호학.수문사
Suzanne C. Smeltzer, BRENDA G. BARE 외. 『성인간호학 Volume2』. 군자출판사. 2012
Meg Gulanick,Judith.L Myers(2015).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현문사.
윤은자. 김숙영. 김옥숙. 소향숙. 서연옥. 성인간호학Ⅰ. 파주시: 수문사; 2019.
이은희. 김유정. 안지원. 최예숙. 고영지.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서울시: 고문사:2019
양선희. 원종순. 백훈정. 조현숙. 강정희. 기본간호학Ⅰ. 서울시: 현문사; 2018.
응급간호학 유인물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