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명칭 변화가 영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정신지체아 명칭의 변화와 영유아에 미치는 영향
1.1. 지적장애의 정의
1.2. 용어 변경의 배경과 의미
1.3. 용어 변경이 영유아에게 미친 영향
1.3.1. 발달 가능성에 대한 인식 변화
1.3.2.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 증대
1.3.3. 조기 진단의 필요성 제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정신지체아 명칭의 변화와 영유아에 미치는 영향
1.1. 지적장애의 정의
지적장애는 우리나라 장애인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의해 지적 기능과 적응행동 상 어려움이 함께 존재해서 교육적인 성취에 어려움 있는 사람으로 정의하고 있다. 즉 연령에 대비해서 전반적인 지적능력 검사 중 IQ 70 이하 또는 의사소통과 사회활동 참여와 같이 적응 기능에서 결함을 보이는 경우이다. 지적 장애의 원인은 염색체 이상이나 대사 장애 그리고 두뇌의 손상과 유행물질 및 약물 오남용을 들 수 있다.
1.2. 용어 변경의 배경과 의미
용어 변경의 배경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정신지체라는 용어는 1980년대 초까지만 해도 정신박약자로 불리었다. 박약(薄弱)이라는 용어는 개인의 능력이 선천적으로 부족해 발전 가능성이 적다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 즉, 이들은 발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교육보다는 격리와 보호가 더 중요하다는 인식이 깔려있었다. 하지만 이는 인간의 발달 가능성을 부인하는 비교육적이고 반교육적인 행위였다.
그에 비해 정신지체라는 용어는 이들에게 장애가 있다고 하더라도 교육을 통해 발전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반드시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 즉, 사...
참고 자료
강은숙 외 4/특수아동 치료교육 및 심리상담/계축문화사/2020
곽현주 외 3/유아 교사를 위한 특수아동 이해와 실제/양성원/2019
전병운 외, 특수교육의 이해, 양서원, 2016.
김은숙, 장애학생 부모 양육 지원 가이드북(지적장애), 국립특수교육원, 2017.
이영철, "정신지체" 라는 명칭의 해체를 위한 담론,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07
이영철, '지적장애' 용어의 변화와 최근 동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0.
최예나 기자, [단독]‘정신지체’ 대신 ‘지적장애’로, 동아닷컴, 201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