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수개념의 이해와 발달
1.1. 수개념의 이해와 발달
1.1.1. 인간의 수학적 사고력과 수개념 교육
인간은 수학적 사고력을 갖고 태어나지만, 이를 수개념으로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교육이 필요하다. 인간은 기본적인 수감각을 가지고 있지만, 숫자를 읽고 쓰며 수량을 파악하는 수개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교육이 중요하다. 수는 단편적 개념이 아니라 여러 요소가 상호 관련된 복잡한 개념들의 집합이다. 인간은 수를 사용하여 논리적 추론을 하고 감각활동과 두뇌활동을 통해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에게 수를 인식하고 수개념을 형성하는 교육은 필수적이며, 이는 일상생활과 성취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1.2. 수개념 발달 단계
유아의 수개념 발달 단계는 크게 3가지 단계를 거친다.
첫 번째 단계는 '총체적 비교 단계'로, 보통 4세의 유아가 이 단계에 해당한다. 이 단계에서 유아는 두 집단의 수를 비교할 때 일대일 대응을 하지 못하고, 물체가 차지하는 공간이나 길이에 대한 지각적 비교를 기초로 판단한다. 즉, 두드러진 특징에만 관심을 갖는다. 예를 들어, 진지 짧은지, 넓은지 좁은지에 대한 시각적 특징에 주목한다.
두 번째 단계는 '직관적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유아가 일대일 대응을 할 수 있지만, 두줄로 되어있거나 형태가 조금만 달라도 물체의 수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촘촘히 10개를 배열한 줄보다 듬성듬성 10개를 배열한 줄에 물체의 수가 더 많다고 지각한다. 이는 직관적이고 시각적인 판단에 의해 결정되는 단계이다.
마지막 단계는 '조작적 단계'로, 유아가 일대일 대응을 하며 직관적이거나 시각적인 판단에 의존하지 않고 논리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직관적 단계와 같은 상황에서도 "둘다 똑같아요."라고 대답할 수 있다. 즉, 물체의 공간적 배열이 바뀌어도 물체의 수는 변하지 않음을 인식하고 설명할 수 있다.
1.2. 일대일 대응과 수세기
1.2.1. 일대일 대응의 개념과 원리
일대일 대응의 개념과 원리는 다음과 같다.
일대일 대응은 물체 하나에 다른 물체 하나를 짝지어 봄으로써 한 집단이 다른 집단과 수가 같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일대일 대응은 수 개념 이해의 기초 개념으로서 수세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보통 일대일 대응 시 범하는 실수는 한 물체를 중복해서 세기, 빠뜨리고 세기, 하나의 이름을 두 개의 물체에 중복해서 배치하기와 두 가지 과정을 완전하게 협응시키지 못하기 등이 있다.
일대일 대응을 지도할 때는 다음의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우선, 일상적 상황을 통해 일어나는 비형식적 일대일 대응 경험을 이용해야 한다. 그리고 일대일 대응의 원리에는 대응할 물체의 지각적 속성, 대응할 물체의 개수, 대응할 물체의 개수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