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마음트레이닝 방법 적용과 결과
1.1. 감정의 척도화
1.1.1. 개요 및 일상 적용 결과
감정의 척도화는 대상자의 감정을 수치로 표시하여 측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감정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감정의 척도화는 심리, 마케팅, 치료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수치를 척도로 할 경우 1부터 10까지의 숫자를 활용하여 감정의 정도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기쁨을 10점, 슬픔을 1점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불안한 감정을 수치로 척도화한다면 가장 불안한 상태를 10점, 가장 안정된 상태를 0점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처럼 자신이 측정하고 싶은 감정의 정도를 수치로 표현하여 시각화함으로써 그 감정의 정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나의 일상에 감정의 척도화를 적용한 결과, 불안이 7점, 우울이 7점, 분노가 7점, 수치심이 6점으로 나타났다. 문단속 등의 강박적 행동으로 인해 불안과 분노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로 인한 우울감도 컸다. 또한 지나치게 완벽을 추구하는 습관으로 인해 수치심도 느끼고 있었다. 감정의 척도화를 통해 이러한 부정적인 감정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어떤 방향으로 감정 조절 및 관리를 해나가야 할지 구체적인 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되었다.""
1.2. 감정 단어의 연습
1.2.1. 개요 및 일상 적용 결과
감정 단어의 연습은 다양한 감정 단어를 익히고 이를 활용하여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첫째, 긍정적인 감정 단어, 부정적인 감정 단어, 중립적인 감정 단어 등 다양한 감정 단어 목록을 작성한다. 둘째, 다양한 감정 단어를 활용하여 감정 표현 문장을 직접 작성해본다. 셋째, 감정 단어가 적힌 감정 카드를 만들어 상황에 맞는 감정 단어를 찾아보는 등의 방식으로 감정 단어 연습을 할 수 있다.
일상 적용 결과, 감정 단어 연습을 통해 평소에 사용하지 않았던 다양한 감정 단어들을 익힐 수 있었다. 예를 들어 긍정적 감정 단어로는 "환희", "명랑한", "즐거운" 등을, 부정적 감정 단어로는 "화나는", "수치심", "힘든" 등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이렇게 다양한 감정 단어를 표현할 수 있게 되면서 자신의 감정을 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감정 빙고 게임"과 같은 활동을 통해 감정 단어에 대한 이해와 활용도를 높일 수 있었다. 이러한 감정 단어 연습은 일상 속에서 자신의 감정을 정확히 파악하고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고 느낄 수 있었다.
1.3. 기분 일기
1.3.1. 개요 및 일상 적용 결과
기분 일기는 매일 스스로의 감정과 그 이유를 작성하는 일기이다. 이를 통하여 자신의 기분을 파악하고, 감정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기분 일기는 매일 빠지지 않고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서 스스로의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을 키우고, 일상생활에서 보다 효율적인 의사소통과 대인관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기분 일기는 스스로의 기분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서 자기계발을 이루는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자신이 자주 느끼는 감정이 '화'라면, 화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찾고, 이를 실천하는 데 효율적이다.
나의 일상에 기분 일기를 적용한 결과, 정리에 대한 강박증이 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분 일기를 작성 후 읽어본 결과 약간의 수치심이 들었지만, 정리정돈 할 때의 감정을 조금 더 객관적으로 바라볼 계기가 되었다. 평소에 해결하기 어려웠던 감정을 일기로 작성한 후에 읽어본다면, 나 자신을 보다 명확하게 볼 수 있게 된다. 비록 작성할 때는 부끄러움이 느껴지지만 그것을 읽고 계획을 세우면서 보다 발전적인 상황이 된다. 따라서 기분 일기를 꾸준하게 작성하는 것만으로도 나의 강박증상을 이해하고 치료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1.4. 처음 써보는 편지
1.4.1. 개요 및 일상 적용 결과
처음 써보는 편지에 대한 개요 및 일상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처음 써보는 편지는 특정한 대상에게 자신의 마음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신에게 보내는 용도로 작성하며,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는 심리치료에서 활용되는 빈 의자 기법과 유사한데, 자신과의 대화를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고 자기 이해를 높이는데 효과적이다.
편지를 작성한 결과, 나는 평소에 타인에게 말하지 못했던 진솔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었다.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