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제네시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제네시스 브랜드 전략
1.1. 제네시스 브랜드 선정 배경
1.2. 제네시스 브랜드 이미지 구축 전략
1.3. 제네시스 쿠페 출시
1.4. 제네시스 미국 시장 진출 목표
2. 제네시스 국내 마케팅 전략
2.1. 수입 경쟁차와의 비교
2.2. SWOT 분석
2.3. STP 분석
3. 제네시스 북미 마케팅 전략
3.1. 북미시장 현황
3.2. 북미 시장 STP 분석
4. 제네시스의 과제
4.1. 기업적 측면
4.2. 마케팅 측면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제네시스 브랜드 전략
1.1. 제네시스 브랜드 선정 배경
현대자동차는 기존 국산 대형차들의 중후하고 전통적인 이미지를 탈피하고, 수입 브랜드와 경쟁할 수 있는 고급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제네시스'라는 신규 브랜드를 선정했다.
현대자동차는 제네시스 브랜드를 통해 국내 시장에서 프리미엄 가격 전략을 추진하고, 북미 시장에서는 기존 현대 브랜드의 중·저가 이미지를 벗어나 새로운 고급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하고자 했다. 이는 현대자동차가 그동안 해외 시장에서 쌓아온 중·저가 브랜드로서의 인식을 극복하고, 수입 브랜드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고급 브랜드로 거듭나기 위한 전략이었다.
1.2. 제네시스 브랜드 이미지 구축 전략
제네시스 브랜드 이미지 구축 전략은 다음과 같다.
현대자동차는 제네시스라는 신규 브랜드를 통해 세계적인 프리미엄 고급차 시장에 진출하고자 했다. 당시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현대차는 중저가 브랜드로 인식되고 있었기 때문에, 제네시스라는 전혀 새로운 브랜드를 창출하여 고급 이미지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는 1989년 도요타가 렉서스라는 브랜드를 만들어 고급차 시장에 진출한 전략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제네시스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위해 현대자동차는 두 가지 핵심전략을 추진하였다. 첫째, 제네시스 차량의 성능과 품질을 기존 국내 대형차 뿐만 아니라 유럽 프리미엄 브랜드 수준으로 끌어올려 객관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특히 R&D 투자를 대폭 늘리고 신규 공장 설립 등을 통해 제네시스의 기술력과 생산능력을 강화하였다.
둘째, 제네시스를 완전히 독립된 브랜드로 구축하고자 하였다. 현대자동차의 브랜드 이미지와는 차별화된 제네시스만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엠블럼, 디자인, 광고 등 모든 측면에서 제네시스만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는 도요타가 렉서스 브랜드를 론칭할 때와 유사한 전략이었다.
이러한 제네시스 브랜드 이미지 구축 전략을 통해 현대자동차는 기존 국산 브랜드의 중저가 이미지를 극복하고 세계적인 프리미엄 브랜드로 도약하고자 하였다. 제네시스 브랜드가 럭셔리 세단 시장에서 벤츠, BMW 등 유럽 프리미엄 브랜드와 경쟁할 수 있는 수준의 이미지와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핵심 목표였다.
1.3. 제네시스 쿠페 출시
제네시스 쿠페는 현대자동차가 25개월의 연구 기간 동안 1,825억원을 투입하여 개발한 고성능 스포츠카이다. 차명 '제네시스 쿠페'는 '제네시스(Genesis)'와 '쿠페(Coupe)'의 합성어로, 현대차가 럭셔리 세단 '제네시스'의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하며 고성능 스포츠카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제네시스 쿠페는 '제네시스'의 플랫폼에 최상의 동력 성능과 역동적인 디자인 감각을 더해 차량 본연의 주행 성능에 모든 역량을 집중한 모델이다. 현대자동차는 제네시스 쿠페를 통해 제네시스 브랜드의 고성능 이미지를 선도할 세계 최고 수준의 정통 스포츠카를 목표로 개발하였다.
1.4. 제네시스 미국 시장 진출 목표
제네시스는 현대자동차가 미국 시장에서 고급 브랜드로의 이미지 제고와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진출했다. 현대자동차는 제네시스를 통해 미국에서 연간 5만대 이상의 판매고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구체적으로 현대차 미국법인의 부사장 존 크라프식은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제네시스 세단의 연간 판매 목표를 2만대, 제네시스 쿠페의 연간 판매 목표를 3만대로 잡았다고 밝혔다. 이는 현대자동차가 제네시스를 통해 미국 시장에서 기존 독일, 일본 프리미엄 브랜드들과 본격적으로 경쟁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현대차는 2016년 제네시스를 미국 시장에 출시한 이후, 기존 중저가 브랜드로 인식되어왔던 이미지를 벗어나 프리미엄 브랜드로서의 지위를 확립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제네시스의 성능과 품질을 고급 수입 브랜드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한편, 마케팅 전략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와 선호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특히 현대차는 미국 소비자들에게 제네시스가 B...
참고 자료
美서 日 제친 제네시스, 정의선 '고급화 전략' 통했다 강주희 저, 뉴시스, 2023
전선규(Sun Kyu Jun) ,정유정(Yoo Jeong Jeong) ,현영석(Young Suk Hyun) ,한국 및 북미시장에서 제네시스의 포지셔닝과 상표확장 전략, 한국마케팅학회
진상대,정대율,정기한, 국내 고급승용차의 브랜드 마케팅 전략연구_제네시스 사례중심, 경상대학교
경향신문 (2011. 2.13), “에쿠스 판매 늘었지만...미 시장 벽 여전”
동아일보 (2008. 2. 6), “현대차 미 시장 공략한정시승 VIP 마케팅.”
매일경제 (2008. 4. 4), “정몽구회장 미딜러 돌려 이유는? 판매 월 20만대 씩 줄어.”
부산일보 (2010. 9.27), “수입차 왜 이렇게 잘팔리나?”
아시아투데이 (2008. 9.29), “현대,기아차 글로벌 경영 문제있다.”
이데일리 (2010. 4. 5), “올 들어 가장 많이 팔린 수입차는 벤츠 E300.”
이코노믹 리뷰 (2007. 5.24), “현대차가 ‘굿바이’를 미 광고대행사로 선정한 까닭은.”
한국경제 (2008. 1. 8), “현대차 제네시스 2대특명.”
한국경제 (2008. 1.31), “현대차 제네시스 1일판매 1만대 돌파.”
한국경제 (2008. 8.18), “WP 제네시스 주행성.안전도, 벤츠.BMW.렉서스 압도.”
헤럴드경제 (2010. 4. 3), “국내 첫 미 슈퍼볼에 광고 자신감. 차별 마케팅 성공”
제네시스 http://www.thegenesisi.co.kr
오토다이어리 http://www.autodiary.kr
이데일리 http://www.edaily.co.kr
한국토요타 자동차(주) 홈페이지 toyota.co.kr
딜러 3사(社) 홈페이지 lexusdnt.com
lexussk.com
lexuskmotors.co.kr
한국 수입자동차 협회 kaid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