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간관계의 심리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나의 인간관계 분석 및 개선전략
1.1. 나의 성격과 인간관계
1.1.1. 성격 검사를 통한 자기 이해
1.1.2. 인간관계 위기 경험
1.2. 인간관계 위기의 원인 분석
1.2.1. 수업 내용을 토대로 한 분석
1.2.2. 자기 성찰을 통한 분석
1.3. 원만한 인간관계를 위한 대처방안
1.3.1. 도움이 되었던 도서 활용
1.3.2. 감정 조절 능력 기르기
1.4. 나의 인간관계 mapping
1.4.1. 원형구조에 나타난 대인관계 양식
1.5. 나의 인간관계 분석
1.5.1. 대인동기 분석
1.5.2. 대인신념 분석
1.5.3. 대인기술 분석
1.5.4. 대인사고 분석
1.6. 나의 인간관계 개선전략
1.6.1. 대화 기회 포착하기
1.6.2. 자기공개하기
1.6.3. 경청하기와 반응하기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나의 인간관계 분석 및 개선전략
1.1. 나의 성격과 인간관계
1.1.1. 성격 검사를 통한 자기 이해
나의 성격은 MBTI 검사 결과 ESFJ 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ESFJ는 외향적이고 감정형이며 계획형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E"는 외향형으로 넓은 대인관계를 유지하고 열정적이며 사교적이다. "S"는 감각형으로 현재에 초점을 맞추며 실제 경험을 중요시한다. "F"는 감정형으로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 주관심을 가지고 있다. "J"는 계획형으로 계획을 선호하지만 너무 치우치지 않는 편이다. 이러한 성격 특성으로 인해 나는 다양한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좋아하고 즐긴다. 사람을 만나면 에너지가 올라가며 현재 상황을 직시하고 해결하려 노력한다. 또한 인간관계에서 상대방의 감정을 고려하며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자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성격 특성으로 인해 가끔 타인과의 차이를 이해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1.1.2. 인간관계 위기 경험
늘 사람들을 많이 만나는 걸 좋아하고, 그러한 사람들 속에서 함께하는 걸 좋아하던 나였기에 작년에 제주도에서 '게스트하우스 스텝'으로 있었던 적이 있었다. 이곳에서 있으면 매일 다양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기에 나와 너무 잘 맞는 곳이라고 생각되었다. 약 두 달 동안 지내왔으며 매일 같이 내가 바라왔던 하루가 만들어 지는 것 같아 너무 좋았다. 다만 한 가지 나의 속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동안 나의 친구들 가족들과 함께했던 사람들 만나기는 내가 늘 어딘가에 기대고 있고, 늘 나와 비슷한 성향을 가진 사람들만 만나 왔었다. 게스트하우스는 정말 처음 만나는 새로운 사람들을 매일 만나다보니 정말 나와 잘 맞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정말 정반대의 성격의 사람도 오기에 내가 늘 해왔던 내 방식과는 다르게 행동해야했다. 이때 나는 '이게 나의 모습은 아닌데..?'라는 생각이 되었고, 점점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는 게 살짝 겁이 나기도 했다. 그래도 게스트하우스에 온다는 것은 모두 열린 마음으로 '함께한다'라는 공통된 마음으로 다가가니 모두 하루를 추억 가득한 날로 만들 수 있었다.
1.2. 인간관계 위기의 원인 분석
1.2.1. 수업 내용을 토대로 한 분석
4장에서 배웠던 내용 중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가장 눈에 들어왔다. 성격 부분에서 나처럼 외향적인 사람은 평소에 긍정적 정서를 더 많이 표현한다. 여기서 볼 수 있듯 성격에 따라 정서를 표현하는 방식이 다르다. 만일 다른 사람이 부정적으로 이야기를 하거나 그러한 태도를 보이면 나는 많이 당황하거나, 마음의 상처를 쉽게 받는 성격이다. 나는 사람들과의 '다름'을 이해하지 못해 게스트하우스에서 인간관계에 대한 위기가 발생했던 것 같다."
1.2.2. 자기 성찰을 통한 분석
게스트하우스에서의 경험을 통해 나는 평소 자신이 가지고 있던 대인관계 방식이 더는 통용되기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평소 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과 비슷한 성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며 주로 그런 사람들과 어울려 왔다. 그러나 게스트하우스에서는 매일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게 되었고, 그들 중 많은 이들이 자신과 전혀 다른 성향을 가지고 있음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처럼 익숙하지 않은 타인들과의 관계 속에서 나는 '이게 나의 모습은 아닌데..?'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평소에는 크게 불편하지 않던 자신의 행동과 대화 방식이 새로운 사람들에게는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참고 자료
정남운, 대인관계 원형모델에 따른 한국판 대인관계 형용사척도의 구성, 2004, 가톨릭대학교 [한국심리학회지]
김영수, 자기불일치와 대인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 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2012, 아주대학교
권석만, 인간관계의 심리학, 2018, [학지사]
매슬로우, 욕구 계층이론, https://blog.naver.com/zestfitkorea/221040345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