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사례제시: 가정불화와 학교 부적응으로 고민하는 위기가정 청소년
태민이의 경우 다소 마른듯하지만 이발한 머리카락이 단정해 언뜻 보면 평범해 보이는 중학교 3학년 학생이다. 그러나 태민이의 어머니 수경 씨의 얼굴에는 근심과 걱정이 가득하다. 태민이가 어느새부터 엉뚱한 말을 곧잘 하고, 동문서답을 하거나 이야기 도중 갑자기 울어버려 의사소통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태민이는 또 새벽까지 깨어있으면서 공책에 무언가를 빼곡히 적기도 한다.
한 병원에서 진단을 받은 결과 태민이는 정밀한 종합심리평가가 필요하다는 소견을 받았고, 망상 조현병(정신분열증)에 가깝다고 한다. 사실 이혼 후 "싱글맘"이 된 수경 씨도 마음의 병을 앓고 있는데, 우울증약을 복용하고 있어 아들의 마음 상태에 신경을 쓰기 어려운 상황이다. 경제적으로도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로 살아가고 있어 난방비 걱정 등 생활고에 허덕이고 있다. 태민이의 성장통을 옆에서 지켜본 학교와 상담소 선생님들은 태민이가 부모의 불화로 인한 이혼과정에서 많은 상처를 받았고, 우울증에 걸린 어머니를 돌봐야 한다는 부담감이 컸다고 한다.
다행히도 태민이가 재학 중인 학교에서는 대한적십자사 강원지사와 '희망나눔천사학교' 협약을 맺어 도움을 받게 되었다. 희망나눔천사학교는 재학생들이 매월 일정액을 기부하며 어려운 친구들을 돕는 정기후원 프로그램이다. 대한적십자사 강원지사는 태민이네 가정에 긴급지원금 340만 원을 지원하고, 태민이가 10회에 걸쳐 전문심리상담을 받을 수 있게 도와주었다. 이를 통해 태민이는 감정 기복을 조절하고 과거의 안 좋은 기억을 마주하는 법, 잠재된 능력과 좋은 기억을 되살리며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법 등을 배울 예정이다.
1.2. 학교 부적응의 원인과 문제점
학교 부적응의 원인과 문제점이다.
학교부적응은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다. 개인적 요인에는 낮은 자존감, 정신지체와 같은 정신적 장애, 그리고 원만하지 못한 대인관계가 포함된다. 환경적 요인에는 가정적 측면의 가정불화, 부적절한 가정환경, 부모의 방임적 태도, 학교 환경적 측면의 학업부진과 또래간 갈등, 그리고 사회 환경적 측면의 빈곤지역 거주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학교부적응의 원인으로 인해 다양한 유형의 문제행동이 발생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학업과 관련된 학습부진과 무단결석, 약물남용, 또래관계 문제, 성과 관련된 문제, 그리고 정서적 불안정 등이 있다. 이는 개인의 발달과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학생 비행으로 이어질 수 있어 개인과 사회적으로 큰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부적응의 원인을 면밀히 파악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2. 학교 부적응의 발생 원인
2.1. 개인적 요인
2.1.1. 낮은 자존감, 정신지체 등
낮은 자존감이나 정신지체 등 개인적 요인은 학교 부적응의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자존감이 낮은 학생들은 자신감이 부족하고 부정적인 자기 인식을 갖게 되어 학교 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정신지체나 지적 능력 결핍 등의 장애가 있는 경우, 또래들과 어울리거나 학업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어 학교 부적응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개인적인 특성들은 학생들로 하여금 소외감과 고립감을 느끼게 하고, 학교에서 부정적인 경험을 할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에 학교 부적응의 주요 요인이 되는 것이다.
2.1.2. 원만하지 못한 대인관계
원만하지 못한 대인관계는 개인적 요인 중 하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