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회전근개 파열은 어깨 관절을 구성하는 네 개의 근육인 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 중 한 개 이상의 근육이나 힘줄이 파열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로 인해 어깨 통증과 운동 범위 제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회전근개 파열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외상이나 반복적인 스트레스로 인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최근 헬스, 골프 등의 어깨 관절을 많이 사용하는 운동의 증가로 인해 젊은 층에서도 발병이 증가하고 있다.
회전근개 파열이 발생하면 어깨 통증과 더불어 어깨 관절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근력이 약화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므로, 초기에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를 단순한 오십견으로 생각하고 방치하다가 증상이 악화되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고 한다.
따라서 이 질환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고 정확한 진단 및 초기 치료의 중요성을 알리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회전근개 파열
2.1. 정의 및 병리
회전근개(Rotator Cuff)란 어깨 관절(견관절)의 표면에 위치한 삼각근의 내부에 있는 4개의 근육(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을 총칭하는 것이다. 회전근개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견관절의 운동 시 상하 및 전후의 관절 안정성을 유지해주는 것이다.
회전근개 파열(Rotator Cuff Tear)은 이러한 회전근개의 근육 또는 건이 낙상, 반복적인 움직임, 퇴행성 변화 등의 원인으로 인해 파열되는 질환이다. 회전근개 파열은 초기에는 건염과 활액낭염으로 시작하여 통증을 유발하고, 점차 진행되면 힘줄이 약해져서 회전근개가 파열되는 양상을 보인다. 회전근개는 이 중 1개의 힘줄만 파열되어도 어깨가 아프고 팔을 들지 못하게 되는 증상이 나타난다.""
2.2. 원인
회전근개 파열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50세 이상의 연령층에서 퇴행적 변화에 따라 자연적으로 파열되는 경우가 많다. 중년 및 노년층에서 회전근개는 점진적인 퇴행성 변화와 혈액순환 장애로 인해 약해지게 되어 외부 요인 없이도 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
둘째, 스포츠 활동 등 반복적인 어깨 사용으로 인한 외상이 원인이 될 수 있다. 골프, 테니스, 배드민턴, 야구 등의 스포츠 활동 중 과도한 어깨 사용으로 회전근개에 미세손상이 누적되어 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
셋째, 선천적 이상 및 발육부전으로 인한 회전근개 약화가 원인이 될 수 있다. 일부 개인은 선천적으로 회전근개의 구조적 결함이나 발육 부진이 있어 쉽게 파열되는 경향이 있다.""
넷째, 외상성 요인으로 교통사고나 낙상 등의 외부 충격으로 인해 회전근개가 파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근육 및 건의 파열이 급성으로 발생한다.""
다섯째, 회전근개 주변의 퇴행성 변화와 외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퇴행성 건염이나 혈관 감소로 힘줄 구조가 약화된 상태에서 가벼운 외상이나 사소한 움직임으로도 회전근개가 파열될 수 있다.""
2.3. 증상
회전근개 손상의 증상으로는 통증, 근육 위축, 관절 운동의 제한, 견관절 근력 약화, 견관절 전외측부의 압통 등이 있다.
회전근개에 건염 또는 파열이 생기면 어깨에서 소리가 나고, 팔을 어깨위로 아파서 들지 못하는 상태가 되는데, 특히 야간에 통증이 심하다. 경미한 증상이 만성적으로 지속되다가 갑자기 심한 급성증상으로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급성 외상성 파열은 교통사고나 운동경기 중 충돌과 같은 충격으로 발생할 수 있다.
회전근개의 파열이 있으면, 파열된 힘줄에 힘이 들어가는 특정한 운동 시에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는데 이를 이용하면 자가 진단이 가능하다. 회전근개는 4개의 힘줄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3가지 검사를 모두 시행해 본다.
이처럼 회전근개 손상의 증상은 통증, 근력 약화, 관절 운동 제한 등 다양하게 나타나며, 특히 야간 통증 악화와 자가 진단이 가능한 특정 운동 시 통증 유발 등이 특징적이다.
2.4. 진단
회전근개 파열의 진단은 환자의 증상과 의사의 진찰 소견으로 가능하며, X-ray 검사가 도움이 될 수 있다. 더욱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자기공명영상(MRI) 검사가 활용된다.
회전근개 손상의 단계에 따라 각기 다른 임상적 특징과 치료법이 적용되는데, 초기 1단계에서는 회전근개의 부종 및 출혈이 나타나며 보존적 치료로 완치가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