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혁명 시대의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인간상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것은 협력과 소통이다. 반목과 갈등의 사회에서 새로운 판을 구상하여 사람들을 설득하고 통합하는 리더십이 절실한 이유이다. 육체노동과 정신노동이 기계에 대치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 리더의 최고 덕목은 바로 휴머니즘 정신(spirit)이다.
존 로스만은 두 번째 책 《아마존 웨이_사물인터넷과 플랫폼 전략》을 통해 아마존의 성장 동력인 사물인터넷과 플랫폼 비즈니스의 모든 것을 상세히 다뤄내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하는 아마존, 아마존을 상징하는 사물인터넷과 플랫폼 비즈니스를 내부자의 시선에서 가장 면밀하게 풀어낸 이...
언택트 시대다. 어떤 이는 언컨택트(uncontact)라고 부른다.
언택트(untact)는 영어 단어 Un과 Contact의 tact가 합해진 합성어다. 한국식 영어 표현이다. 이 책을 발간한 거꾸로미디어는 언컨택트보다는 언택트가 입에 붙는 표현이라고 판단했다. 의미는 ‘기존의 접촉방식을 내려놓는 비대면 접촉’이라고 할 수 있다. 학교 교육을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것을 언택트 교육으로 부른다. 마트에 가지 않고 인터넷 주문으로 물건을 받는 것을 언택트 쇼핑이라고 한다. 비대면으로 콘서트를 열면 언택트 뮤직이 된다.
이러한 시대에 필요한 리더십은 무엇인지를 대학원생들과 리더십 전문가들이 함께 고민하고 쓴 책이 바로 ‘언택트 시대의 마음택트 리더십’(11인 공동 저자, 거꾸로미디어)이다.
8월15일 광복 75주년 기념 판으로 나온 이 책의 주저자인 박병기 교수(웨신대)는 ‘새로운 시대에 필요한 것은 마음택트 리더십’이라고 강조한다.
마음택트는 ‘마음으로 연결함’을 의미한다. 마음으로 연결하는 데 필요한 것은 여러 가지이지만 박병기 교수와 10인의 저자들은 ‘서번트 리더십’으로 보았다.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수많은 오해가 있지만 11인의 저자들은 경청, 공감, 힐링, 인식, 설득, 개념화, 미래보기, 청지기 정신, 타인 성장에 헌신, 공동체 세우기라는 래리 스피어스의 서번트 리더십 이론에 공감했다.
11인의 저자들은 이 서번트 리더십의 관점으로 우리 선조와 현대인을, 미국의 위대한 인물들을 돌아보았다.
새로운 안경을 쓰고 봤더니 위대한 리더들은 모두 서번트 리더들이었다. 한국의 최고의 서번트 리더로는(괄호 안은 저자의 이름) 정약용(조계형), 김구(경제원), 세종과 정조(김희경, 김옥선)
조엄, 곽낙원, 문익점(조기연), 김만덕(강수연), 이태석(나미현), 이명신(이새봄), 방시혁(노현정) 등이 있었다. 여기서 눈에 띄는 인물은 방시혁이다. 그는 독설의 프로듀서가 아니었던가? 그런데 노현정 저자가 연구하며 살펴보니 방시혁은 전형적인 서번트 리더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책은 이 밖에 마틴 루터 킹 주니어(유고은), 버락 오바마(박병기&조기연), 존 우든과 사도 바울(박병기) 등 외국의 서번트 리더들을 심층적으로 다뤘다.
웨신대 미래교육리더십 전공의 담당 교수이기도 한 주저자 박병기는 서번트 리더십 외에도 자신이 만든 리더십 정의를 책 전반에 녹이는 작업을 공동저자들과 함께 했다. 그는 ‘나에 대해 깊이 알고, 이웃을 깊이 관찰해서 어떤 사람들인지 알아내고 그 결과로 타인(他人)을 위한 삶을 사는 자’라고 리더를 정의했다. 그리고 그는 더 나아가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를 하며 협력을 잘하고 좋은 인성(人性)을 가진 자로서 놓인 문제를 해결하며 세상을 이롭게 하는 자’라고 부연 설명했다.
이런 내용이 왜 언택트 시대의 마음택트 리더십인가? 마음택트 하려면, 즉 마음으로 연결하려면 먼저 내면 깊은 곳의 나를 발견해야 하고, 이웃이 어떤 사람들인지 알아야 한다. 그리고 그들을 위한 삶을 살아야 한다고 생각해야 마음 연결이 가능하다. 그런 사람은 언택트 상황에서도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를 한다. 그런 리더는 언택트 상황에서 협력을 잘하고 놓인 문제를 지혜롭게 해결한다. 그런 사람이 바로 세상을 이롭게 하는 자이다.
언택트 시대의 마음택트 리더십을 이 책에 소개되는 위대한 인물들을 통해 배워보자.
이런 소용돌이의 중심에 교육과 기술을 결합한 에듀테크가 자리하고 있다. 인공지능, VR, 사물인터넷, SNS와 같이 4차 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기술들을 교육과 연결해 새로운 교육 방식을 창조해내고 있는 것이다. 에듀테크는 교육과 기술의 융합에 기반을 둔 효과적인 교육을 통해 기존의 교육이 가지고 있던...
우리는 지금 인공지능과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라는 사실을 점차 깊이 인식해 가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는 초지능(Superintelligence)ㆍ초연결(Hyperconnectivity), 융ㆍ복합의 시대이다. 우리는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 즉 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가면서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이러한 시기에 이 책은 인공지능 시대의 주요 기술에 관해 다룸으로써 이 시대의 특징을 잘 파악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거대한 흐름 안에서 인공지능 시대의 주요 기술을 소개하고 있어서 현대와 더불어 다가올 미래의 양상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예견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은 저자의 『인공지능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우리 교육이 나아갈 방향』이라는 책에 대한 독자의 요청에 의해 각론 형태의 책을 출간하고자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