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소의 왕국>에서는 물리화학 분야의 베스트셀러 교과서를 집필한 바 있는 피터 앳긴스가 상상력을 통해 주기율표 즉, 원소의 왕국인 화학의 본질을 알기 쉽고 흥미롭게 설명한다. 화학의 기본 원소들을 모두 담고 있는 주기율표. 그 주기율표를 관통하는 근본 원리들과 주기율표가 형성된 역사, 그리고...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월든 콜렉션
“각박한 현대사회에 들려주는 자연의 노래”
에머슨의 권고로 시작한 문학적 기록은 걸작으로 평가되며, 자연을 담아내려는 시인에게 감흥을 불어넣는 자극제가 되고 있다. 그는 글을 24년간 깁고 더해, 단어 수가 무려 200만에 이른다. 헨리 데이비드 소로가 일기를 쓰는 방식은 해를 거듭하며 발전했다. 이는 자연탐구의 요체이자, 문학성도 수작으로 꼽힌다. 첫 일기는 1837년 10월 22일에 썼다. 하버드 대학을 졸업한 지 며칠 안 되었을 때였다. 그는 1862년 5월 6일 세상을 떠나기 일곱 달 전인 1861년 11월 3일까지 이를 매일 쓰다시피 했다. 1852년에는 출간할 원고 집필은 잠시 멈추고 14권까지 쌓인 일기에 집중했다. 〈산책Walking〉과 〈단풍Autumnal Tints〉 및 〈야생사과Wild Apples〉 등, 주옥같은 작품도 실은 일기에서 발췌한 것이다. “훌륭한 일기를 쓰는 것 말고 달리 할 일이 있는가?” 시인을 두고 그가 한 이야기다.
소로는 걸출한 수필가로서, 방대한 주제로 수준 높은 글을 썼을 뿐 아니라, 열렬한 논객으로 활약하기도 했다. 예컨대, 《시민의 불복종 에세이Essay on Civil Disobedience》에서 그는 원칙에 따른 시민 불복종으로써 마하트마 간디와 마틴 루터 킹이 독재정부에 저항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다. 본문은 레프 톨스토이Lev Tolstoy와 존 F. 케네디존 F. Kennedy에게도 귀감이 되었다. 소로는 정부가 국민을 짓밟고 양심을 저버리는 작태를 방관해서는 안 되며, 정부가 그들을 부정한 대리인으로 전락시키는 것을 묵인해서는 안 된다고 역설했다. 노예제도와 멕시코ㆍ미국 전쟁으로 그의 소신은 더욱 확고해졌다.
프랑스의 천체물리학자, 위베르 할아버지가 들려주는 생물다양성 이야기 『위베르씨 내일의 지구를 말해주세요』. 팔순이 넘어 머리카락이 하얗게 센 서양의 한 할아버지가 지구와 생명에 관한 책을 펴냈다. 바로 프랑스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천체물리학자, 위베르 리브스다. 국내에서는 이미 ≪할아버지가...
과학자가 독자들에게 자신의 과학 이야기를 설명하는 형식으로 구성한 「과학자가 들려주는 과학 이야기」 시리즈 제35권 『윌머트가 들려주는 복제 이야기』.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는 흥미로운 실험과 이를 설명하는 이론들을 초등학생 및 중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쉬우면서도 논리적으로 설명한 책이다. 이로부터 과학에 대한 깊은 이해와 이를 발견해낸 과학자들의 창의적인 사고과정을 체득할 수 있다.
각각의 사례마다 부록을 곁들여 이해를 돕고, 다양한 사진과 통계 자료를 통해 어린이 권리를 깊이 있게 이해하도록 돕는다.
권말 부록에는 유니세프한국위원회에서 정리한 유엔아동권리협약을 실어 딱딱한 법 조항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아울러 일상생활 속에서 내가 누릴 권리와 내가 지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