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이 ‘하는’ 것이 아닌 많이 ‘남기는’ 공부법을 밝힌다!‘리틀 아인슈타인’ 쇼 야노의 목적형(WHY) 공부법『꿈이 있는 공부는 배신하지 않는다』. 9살에 대학에 입학하고, 21살에 시카고대학 의과대학원에서 최연소 의학박사, 생물학박사(M.D/PH.D) 학위를 취득하며 의학계를 이끌어갈 차세대 리더로...
총 30권으로 구성될 인문학자 김종원이 지난 16년 동안 같은 텍스트를 접하면서도, 사람들의 변화가 제각각인 이유에 관해 사색한 답을 풀어놓은 《김종원의 세계철학전집》의 두 번째 책의 주인공은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이다. 《나에게 들려주는 예쁜 말》, 《부모의 말》, 《시보다 좋은 엄마의 말은 없습니다》 등의 저서와 직접 운영하는 SNS를 통해 평소 선택하는 언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저자이기에 전혀 어색함이 없는 콜라보다. 이유인즉, 20세기를 대표하는 가장 열정적인 천재인 비트겐슈타인을 대표하는 키워드가 바로 ‘언어’이므로.
사실 ‘아 다르고 어 다르다.’는 속담도 있듯, 말과 글로 대변되는 언어는 누구에게나 어렵다. 그렇다고 신경 쓰지 않고 살 수는 없는 노릇이다. 어떠한 언어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우리 삶의 결과가 달라지므로. 만일 이런 고민을 안고, 자기 자신의 낮은 언어 수준을 한탄하고 있다면, 이 책과 꼭 조우하기 바란다. 저자 스스로 “미치도록 치열하게 사색하며, 섬세하게 읽고, 썼다.”고 고백할 만큼, 비트겐슈타인이 남긴 흔적을 따라가며 우리에게 언어로써 앞으로 살아갈 세계의 한계를 넓힐 방법을 알려주고 있으니까. 그저 우리는 뜨겁게 읽기만 하면 된다.
그러나 <뉴턴과 아인슈타인, 우리가 몰랐던 천재들의 창조성>은 과학자들의 연구활동과 구체적인 실천의 맥락에서 창조성의 본질을 탐구하여 그들의 노하우를 밝힌 새로운 개념의 과학교양서이다. 이 책에 자세하게 나오는 뉴턴과 아인슈타인의 창조성의 비밀은 복잡한 이론설명이나 실험방법이 없어도...
생각하는 힘이 인생을 사는 힘이다!
마흔의 삶에 통찰력을 키우는 비트겐슈타인의 36가지 조언
마흔을 위한 20세기 천재 철학자의 인생 수업을 담은 책.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생각하는 힘이 인생을 사는 힘”이라고 말한다. 외부의 기준이 아니라 나만의 기준을 세워야 할 시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마흔에 읽는 비트겐슈타인》은 끊임없이 사유하며 자신을 무너뜨리고 다시 세운 비트겐슈타인의 인생과 철학을 마흔의 일상에 닿는 현실적인 조언으로 풀어낸다.
비트겐슈타인은 ‘책 한 권으로 철학사를 뒤흔든 이단아’, 전 세계 저명한 인사들이 추종한 ‘철학의 거장’, 〈타임〉 선정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라는 칭송을 받았다. 그러나 그의 철학은 지나치게 난해하여 대중의 언어로 정리된 책이 드물다. 저자 임재성은 인생에 대해 깊이 고민하던 시기에 비트겐슈타인이 남긴 단 한 권의 책 《논리-철학 논고》를 만났다. 그는 오랜 시간 이 복잡한 문장들과 씨름하며 그 숨은 뜻을 이해했고, 마침내 이를 마흔을 살아가는 이들의 언어로 다시 썼다.
“철학은 건축과 비슷하지만, 본질은 자신을 세우는 데 있다.”
“더 나은 인간이 되려면 말없이 묵묵히 자기 일을 계속하라.”
“삶이 버거울 때 우리는 먼저 상황을 바꾸려 한다. 하지만 가장 근본적이고 효과적인 변화는 태도를 바꾸는 데서 시작된다.”
이처럼 비트겐슈타인은 현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삶의 본질을 찾으라고 강조한다. 《마흔에 읽는 비트겐슈타인》은 각 장에서 무엇이 내게 가장 중요한지, 어떻게 우리가 쓰는 언어가 세계를 넓히는지, 얼마나 깊이 생각해야 하는지, 언제 진정한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인생이 의미 있는지 논한다.
이 책을 통해 비트겐슈타인이 던지는 인생의 근본적인 질문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나 자신이 선택한 기준으로 세상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복잡하게 얽힌 인간관계로 스트레스를 받는가? 다른 사람에게 인생을 바치는 기분이 드는가? 지난날을 후회하면서 앞으로는 어떻게 살아야 할지 걱정스러운가? 비트겐슈타인이 알려 주는 생각하는 힘을 통해 인생을 사는 힘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