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국어교사모임' 회원으로 활동하며 우리 옛글에 대한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온 '옛글읽기모임' 선생님들이 학생들과 함께 읽기 좋은 옛글 58편을 가려... 뿐만 아니라 설(說), 기(記), 편지글(書), 제문(祭文), 논(論), 헌사(獻辭) 등 다양한 종류의 글 58편을 실어 옛글을 풍성하게 접할 수 있도록 했다.
책은 여섯...
전국국어교사모임이 기획하고 집필한, 한국 대표 단편소설 감상 길라잡이
이 책은 전국국어교사모임에서 기획하고 집필한 교과서 속 단편소설 감상 길라잡이인 ‘물음표로 찾아가는 한국단편소설’ 시리즈에 속한 책이다.
김승옥의 〈서울, 1964년 겨울〉은 4ㆍ19 혁명에서 6ㆍ3 항쟁으로 이어진 1960년대를 배경으로, 서울이라는 욕망의 도시에서 살아가는 세 인물 ‘안’과 ‘나’와 ‘사내’를 통해 비정상적이고 비정한 사회의 모습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무의미한 대화, 서로에게 무관심한 모습, 일회적이고 삭막한 인간관계 등을 김승옥 특유의 문체와 감수성으로 그려낸 작품으로, 1960년대의 사회와 개인의 모습이 오늘을 사는 우리의 모습과도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서울, 1964년 겨울〉을 읽고 학생들이 던진 질문 가운데 유의미한 것들을 뽑고, 그 질문들에 답하는 내용으로 채워져 있다. ‘서울, 1964년 겨울’은 어떤 의미인지, 인물들에게 왜 이름이 없는지, 인물들이 왜 의미 없는 대화를 주고받는지, 병원에서 시체를 돈 주고 사는 게 가능한지, 사내가 왜 자살할 수밖에 없었는지……. 학생들이 궁금해한 질문과 그에 대한 선생님들의 설명을 읽어나가다 보면, 자연스레 〈서울, 1964년 겨울〉에 나오는 인물들을 이해하게 되고, 사건 뒤에 숨겨진 뜻을 발견하게 되고, 당시의 시대상을 알게 되고, 결국엔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도 알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작가인 김승옥의 삶과 문학 세계, 작품의 배경인 1960년대 당시의 시대적 상황, 엮어 읽을 만한 작품 등 다양한 읽을거리도 함께 만날 수 있다.
전국국어교사모임의 국어 교사들과 정통한 고전 학자들이 함께 힘을 모아 우리 고전을 누구나 두루 즐기며 읽을 수 있도록 쉽게 풀어 쓰고 맛깔나고 재미있는 작품으로 재창조한 「국어시간에 고전읽기」 제20권 『옥단춘전』. 《옥단춘전》은 김진희와 이혈룡의 집안 이야기부터 시작해, 이 두 사람의 우정과...
국어 교사들이 가려 뽑고 고전 학자들이 풀어 쓴 「국어시간에 고전읽기」 제1권 『운영전』. 이 시리즈는 우리 문학의 뿌리인 고전을 원본에 가깝게... 이 책은 한문으로 씌어진 고전 소설 《운영전》을 다룬다. 세종대왕의 셋째 아들 안평 대군궁에 갇혀 세상과 단절된 채 살아가는 아름다운 궁녀 '운영'이...
『이춘풍전』은 9세기 후반에 한글로 지어진 고전 소설입니다. 이름대로 춘풍이는 봄바람이 살랑대는 것처럼 처신이 매우 가벼운 사람입니다. 부모가 물려준 재산을 온갖 놀이와 기생질을 하느라 다 털어먹고, 나랏돈까지 빌려 장사를 가서는 제 버릇 개 못 주고 또다시 기생에게 홀려 전 재산을 날리고 머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