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단순히 길게 보는 것만으로
당신의 경쟁자는 사라질 것이고,
성공 확률은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갈 것이다!”
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않고 지금의 실패에도 의연할 수 있는
진정한 내 인생의 주인이 되는 법
★★★ 〈월스트리트 저널〉 베스트셀러 ★★★
★★★ 경영의 오스카상, 씽커스50에서 뽑은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
★★★ 구글, MS, 모건스탠리, 예일대, 하버드대 강연 ★★★
★★★ 찰스 두히그, 마셜 골드스미스, 세스 고딘, 다니엘 핑크 강력 추천! ★★★
출근하면 메일함부터 열어본다. 어제 미처 해결하지 못한 무수한 요청들을 처리하고, 오전 회의에 참석했다가 나오면 ‘오늘까지 가능할까요?’라며 밀려들어 오는 일들을 떠맡는다. 오후에는 미팅과 브레인스토밍, 그날 처리해야 할 일들이 쌓여 있다. 휘몰아쳐 온 일들을 마치고 나면 어느새 퇴근 시간이다. 투두 리스트에 적혀 있는 내 일들은 하나도 지우지 못한 채 어제와 같이 그대로 남아 있다. 이렇게 바쁘게 사는 데도 정작 내가 해야 할 일들은 미뤄지고, 나는 성장하지 못한 채 소진되는 것 같을까? 이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내기 위해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롱 게임》은 이처럼 단기 목표와 그 결과에만 함몰되어 있는 사람들에게 내가 원하는 것들로 삶을 채우고 여유롭게 나만의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다. 저자인 도리 클라크는 하버드·스탠퍼드·유펜 등 명문대 경영대학원 교수, ‘씽커스50’에 선정된 경영 컨설턴트, ‘마셜 골드스미스 리딩 글로벌 코치 어워드’ 1위를 수사한 커뮤니케이션 코치, 그래미상을 수상한 재즈 앨범 프로듀서, 토니상 수상작의 투자자, 다큐멘터리 감독, 수십억대의 사업가 등 다양한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이것들은 평생 하나도 이루기 힘든 성과지만, 단 한 사람이 그것도 젊은 나이에 모두 이루어냈다는 점이 놀라운 점이다. 저자는 그 비결을 ‘롱 게임’으로 꼽는다.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고 시간을 조금씩 투자하는 것, 이 간단한 루틴만으로도 불가능한 일은 없다. 이 책은 그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려주는 실전서다.
'롱 게임'을 읽고: 단기적 시야를 넘어선 장기적 성공 전략, 그리고 나의 삶의 방향 재설정하기
도리 클라크 작가님의 '롱 게임(The Long Game)'은 처음 책을 펼쳤을 때부터 나에게 깊은 공감과 함께 '진정한 성공'과 '지속 가능한 성장'의 본질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졌다. '롱 게임'이라는 제목처럼, 이 책은 단순히 눈앞의 성과나 단기적인 목표 달성에 매몰되는 것을 넘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나 자신을 성장시키고 의미 있는 영향력을 구축하여 궁극적인 성공에 도달하는 방법을 날카로우면서도 따뜻하게 풀어냈다. 저자는 세계적인 비즈니스 컨설턴트이자 사고 리더로서 수많은 성공 사례와 심리학적 통찰을 바탕으로, 우리가 흔히 간과하는 '시간의 힘'과 '전략적 인내심'의 중요성을 명확하게 설명하며, 우리에게 '당신은 무엇을 위해 바쁘게 살고 있는가?
도리 클라크의 『롱 게임(Long Game)』은 인생과 경력, 목표를 이루는 데 있어 ‘단기적인 성과’에 집중하기보다 ‘장기적인 관점’을 가지고 꾸준히 노력하는 법을 알려준다. 현대 사회는 빠른 결과와 즉각적인 만족을 원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이 책은 오히려 천천히, 그러나 확실하게 자신의 길을 만들어 가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진다.
1. ‘롱 게임’의 의미와 내 삶에 대한 통찰
내 삶을 돌아볼 때도 단기적인 성공에만 몰두했던 순간이 많았다. 예를 들어, 대학 시절에는 시험이나 프로젝트에서 좋은 성적을 받는 데 집중하느라 전체 커리어 플랜이나 장기적인 자기개발을 간과한 적이 있었다.
저자는 단기적으로 성공하려는 사고 방식보다도 길게 목표를 계속 유지하면서 사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인생을 롱 게임이라고 생각을 한 것이다. 우리는 평가를 받는 방식이 주로 겉으로 나오게 되는 결과에 불과하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평가를 못 받는다는 점을 지적한다. 맞는 말이다.
저자는 길게 보고 다른 사람과 경쟁에서 이길 방도를 알아봐야 한다고 했다. 결국 꾸준히 노력하는 것밖에 답은 없는 것 같다. 저자도 성공을 그냥 확실하다고 믿고 그대로 계속 승승장구 하면서 영광의 길을 걷는 그런 것이 아니라 멸시와 비난과 조롱까지 계속 받아가면서도 계속 열심히 노력을 했을 때 마지막에 얻게 되는 것이라고 했다.
점점 더 치열해지는 경쟁 사회에서 기업과 개인 모두가 단기적인 성과를 올리는데 주력하고 있다.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조금이라도 시간을 지체하면 경쟁자에게 1위의 자리를 내줄 것 같은 불안감 때문이다. 매 분기마다 기업들은 매출과 순이익에 대한 자료를 작성하고 발표하는데 주력한다. 개인 역시 긴 시간이 필요한 프로젝트에 매달리기 보다는 빨리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분야에 눈을 돌린다. 하지만 이런 근시안적인 관점으로는 매일 새롭게 등장하는 여러 변수들에 적절하게 대응을 하지 못하게 된다. 최근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대표적인 변수들이 바로 코로나 펜데믹과 기후 위기일 것이다. 예기치 못한 장벽이나 상황에서 단기적인 목표나 계획은 힘을 잃게 마련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경영사상가이자 커뮤니케이션 코치인 도리 클라크가 펴낸 이 책은 그 어떤 변화나 경쟁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이기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