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업무개선 전략(2) OSHA 지역(지방)사무소 특별사업2) OSHA의 주요사업(1) OSHA 자율안전보건 협력프로그램가) 프로그램 도입 배경나) 협력프로그램의 개요(2) VPP ... 자율안전보건프로그램가) VPP 개요나) VPP 참여대상 및 자격조건다) VPP 참여사업장 등급(3) OSPP 전략적 협력프로그램가) OSPP의 개요나) OSPP의 이점다 ... 고 있음나) 협력프로그램의 개요○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1982년 미국 OSHA는 자율안전보건프로그램(Voluntary Protection Program, 이하 VPP)을 시행
을 향상시키고 노사협의체의 적절한 역할을 찾고자 했다. 이 시스템은 자율안전보건프로그램(VPP; Voluntary Protection Program; VPP)이며 인증 및 법적인 ... 인정원의 K-OHSMS 18001로 나올 수가 있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KOSHA 18001은 사업장 자율안전관리기법인 영국 BS 8800, DNV의 ISRS ... KOSHA 18001이라는 이름으로 시행을 하여 여러 업체들이 인증을 받고 있다. 여기에 산업안전법 제 4조에 정부 책무 중에 사업장에서의 자율적인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확립을 위한
현황자율안전보건관리가 정착된 미. 영. 독. 일 등 선진국 안전보건교육의 특징은 산재예방의 주력 사업으로 교육적 대책을 중요시하고 있다는 전과 노사의 자율적 참여 그리고 자율참여 ... 의 자율적인 안전보건교육 및 적극적인 교육 참여.○ OSHA전략계획(FT1977-FT2002)중 “전략목표 2”는 안전의식 제고와 근로자의 자율참여 유도 및 사업장 지원을 위한 ...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이 주 내용임.2) 교육 기본 전략○ 사업장의 관리감독자를 안전보건지도자(trainer)로 육성시켜서 이들을 통해 사업장의 안전보건을 확보(근로자에 대한 지도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