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타신앙이 내세적 성격에서 현실적 성격으로 변했음을 알게 한다. 이렇게 성격이 변한 것은 경덕왕대 자연 재해와 기근으로 인하여 민중사회가 피폐해지면서 현실에서 극락정토를 건설 ... 적 경향을 지녔던 것으로 보인다. 『성유식론학기』와 『대승기신론내의약탐기』에서도찾아지는 그의 융섭적 유식사상은 그의 실천신앙에까지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이해된다. 태현은 중국 법상종 ... 승려들과는 달리 미륵신앙과 함께 아미타신앙을 병행하였다.아미타신앙을 포용하는 것은 신라 유식승려들의 일반적 성향으로, 『법화경』에 대한 공통된 관심에서도 찾아질 수 있다.태현
이 글은 현재 우리나라 불교계나 불교학계에서 “나무아미타불” 염불을 통한 극락왕생이라는 정토신앙을 불교라고 받아들이지 못하는 분위기가 있음을 인식하면서, 그들의 논리를 고찰 ... 는 정토삼부경에서 설하고 있는 정토신앙을 전혀 믿지 않는다. 타방정토의 존재나 아미타불의 구제, 칭명염불을 통한 왕생 등 정토신앙의 핵심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 그 어느 하나에 대해서 ... 에 대해서 나는 정토신앙의 입장에서 다시금 반비판하는 논리를 전개해 보았다. 이를 통하여 정토불교의 존재의의 내지 성립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Manhae Hanyong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