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노동조합이 비정규직의 근로조건을 개선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임금격차를 통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인 ... 적자본축적량 차이로 인한 임금격차 이외에 고용형태에 의한 차별적 임금격차가 유노조 사업장의 경우 총 격차의 42.7%, 무노조 사업장의 경우 37.93%를 차지하여 4.77%포인트 ... 의 격차가 존재함이 확인되어 노동조합이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임금격차를 저지하는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정 부문에 노동조합이 조직될 경우 비노조 부문의 임금
하여 엄밀하게 분석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KLI)의 『한국노동패널(KLIPS)』 21차연도(2018년) 부가 자료(설문)를 이용하여 플랫폼 노동자를 식별 ... 한 후, 성별 소득결정 요인을 분석하고 소득격차 중 임금근로-비임금근로 형태에 따른 소득차별의 비중을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플랫폼 노동자는 임금노동 ... 을 보였다. 이러한 소득격차를 생산성 특성에 기인하는 격차와 합리적으로 설명이 불가능한 격차로 분해할 경우, 임금노동자의 경우 각각 24.7%, 75.3%, 비임금근로자의 경우
어서 직무의 상대적 가치를 정하여 직무간의 임률격차를 조정하는 인사관리상의 한 기법이다. 라이틀(Lytle, C.W.)에 의하면 직무평가는 직무분석의 연장이며, 직무의 상대적 가치 ... 의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직무분석과 선발, 배치, 직무평가, 인사고과 등의 기술적 내용이 구성되어야 한다.첫째, 직무분석(Job Analysis)직무분석은 직무 ... 를 분석하여 그 성질을 결정하는 것이며 노동자의 합리적인 채용기준, 적재적소의 배치, 전환, 교육훈련 등을 위한 기초가 되며 인적자원을 유효하게 이용하는데 필요한 요소인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