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맞아 분단과 비극의 상징인 DMZ를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생태 관광지대로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이 방안도 행안부의 사업안을 바탕으로 시행되는 것이라 사업결과에 대해 심히 걱정 ... 막대한 예산 낭비 초래하는 DMZ 개발Ⅰ. 서론평화의 땅인 DMZ가 막대한 예산 낭비와 환경파괴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이는 자연을 개발의 대상으로만 보는 인접 지자체와 정부 ... ·접경권 초광역 개발 사업’안을 5월 중에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이 와중에 문화체육관광부가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에서 '한반도 생태평화벨트 조성방안'을 발표하였다. 한국전쟁 60주년
막대한 예산낭비 초래하는 DMZ 개발 DMZ 개발 = 예산낭비 + 환경파괴 ?목차 Ⅰ. 현 황 Ⅱ. 문 제 점 Ⅲ. 해외사례 Ⅳ. 해결방안Ⅰ. 현황 1. DMZ 현황 공간적 개념 ... 비무장지대 일원Ⅰ. 현황 1. DMZ 현황 범위 , 규모 DMZ 907k ㎡ 서울시 605k ㎡Ⅰ. 현황 1. DMZ 현황 전경Ⅰ. 현황 종류 개체수 포유류 52 종 조류 201 ... 종 어류 106 종 식물 1,597 종 1. DMZ 현황 자연생태현황 접경지역의 일반적인 자연생태현황 67% 가량이 DMZ 와 접경지역에 서식Ⅰ. 현황 1. DMZ 현황 공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