는 경우에는 그 혼인을 무효라고 할 수 없다.”라고 하였다.(99므1329)3. 검토혼인신고에 흠이 있을지라도 우선 수리된 때에는 그 흠만을 이유로 무조건적으로 혼인이 무효라 할 수 ... 적·객관적 요건사실혼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당사자 사이에 주관적으로 혼인의사의 합치가 존재하고 객관적으로 부부공동생활이라고 인정할 만한 혼인생활의 실체가 존재해야한다.(86므70)3 ... 다.(75므28)(2) 사실혼 해소의 정당한 사유 존재 여부민법 840조 이혼원인 규정과 816조의 혼인취소에 관한 규정을 참고로 하여 양당사자의 행위를 종합하여 판단하여야 한다.Ⅳ
며, 혼인신고가 그들간에 참다운 부부관계의 설정을 바라는 효과가 없거나 일방이 무의식의 상태에서 이루어진 혼인 역시도 모두 무효라 할 것입니다(대법원 2000. 4. 11. 선고 99므 ... 1329, 1996. 11. 22. 선고 96도2049, 1996. 6. 28. 선고 94므1089 각 참조). ... 의 소청 구 취 지1. 원고와 피고 사이에 2000. 4. 3. OO시 O구청장에게 신고하여 한 혼인은 무효임을 확인한다.2. 소송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라는 판결을 구합니다
는 합의를 말한다.」고 하여 형식적 의사설을 취하는 듯 한 판례도 있지만(대법원 2000. 4. 11. 선고 99므1329 판결), 사실관계를 살펴보면 위조된 혼인신고서에 의한 무효인 ... . 6. 28. 선고 94므1089 판결)Ⅰ. 쟁점의 정리1) 혼인의 성립요건으로서 당사자 간의 혼인의 합의와 그 합의의 존재시기2) 혼인합의의 추정적 의사를 인정할 수 있는 지 여부 ... 문제로 사실혼 관계를 주장하는 경우 사실혼관계존부확인의 소를 제기할 수 있다고 한다.(대판 1995. 11. 14. 선고 95므694 판결)그러나 판례는 당사자 일방 사망 후 혼인
1 혼인의 무효 (대법원 2000. 4. 11 선고 99므1329 판결)1. 사실관계(원심 서울가정법원 1999. 6. 24. 선고 98르896 판결 -미간행, 비공개 판례)원고 ... 이O전과 피고 강O숙은 사실혼관계를 계속해오다 피고가 혼인신고를 하였고, 원고는혼인의사가 불분명하였다 하는 이유로 혼인 무효 확인 소송을 청구한 것으로 보인다.2. 판결요지혼인 ... 이 인정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혼인을 무효라고 할 수 없다.3. 판결의 해석(1) 사안의 쟁점법률혼주의를 택하고 있는 우리 나라에서, 혼인의사가 불분명한 의사를 당사자간의 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