는 대법원 1996. 8. 23 선고 94다38199 판결을 중심으로 하여 그 법적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Ⅱ. 대법원 1996. 8. 23 선고 94다38199 판결1.판결쟁점 ... 한 약정의 사법상의 효력은 유효하다고 보고 있다(대법원 1993.12.28 선고 93다26632).③ 원고는 상당한 기간 주식거래를 하여 온 이상 원심인정과 같이 원고가 이 사건 투자
없다. 또한 판례는 대리인 이 강행규정에 위반되는 법률행위를 한 경우 표현대리를 적용할 수도 없다고 본다(대판 1 996.8.23, 94다38199).② 부당이득강행규정 위반 ... 면제 등이 이에 속한 다.Ⅱ 법률행위의 해석Ⅰ. 법률행위해석의 의의「법률행위의 해석」은 법률행위의 내용을 확정하는 작업이다. 법률행위는 의사표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것은 「의사 ... 한 관행으로서 법률행위의 당사자의 의사를 보충함에 그치는 것이다(대판 1983.6.14, 80다3231).2) 요건① 관습은 사적 가치가 인정되는 분야, 즉 임의규정이 적용되는 영역
계좌설정약정이나 일임매매약정까지 무효가 된다고 할 수는 없다(大判 1996. 8. 23. 94다38199).변호사 아닌 원고가 소송당사자인 피고로부터 소송사건을 떠맡아 피고를 대리 ... 는 실재하는 의사가 아니라 법률행위의 일부분이 무효임을 법률행위 당시에 알았다면 당사자 쌍방이 이에 대비하여 의욕하였을 가정적 의사를 말한다.(大判 1996. 2. 27. 95다 ... 에 대한 국유재산처분이 무효하다 하여 잔여국유재 산의 매매행위까지 무효한 것이라고 볼 것은 아니다. (大判 1967. 12. 26. 67다2405)주식투자가와 증권회사 사이에 주식
할 의사가 있다면 행정재산 부분에 대한 처분이 무효라고 하여 잔여 국유재산의 매매행위까지 무효인 것이라고 볼 것은 아니다.대판 96.8.23. 94다38199 주식투자자와 증권회사 사이 ... 」로 존 나머지 부분이 무효가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일부무효의 법리는 법률행위의 내용이 불가분인 경우에는 문제도 되지 않으며, 분할이 가능해야 비로소 적용될 수 있다(대판 94.5 ... .24. 93다58332). 그리고 나머지 부분으로도 법률행위를 했을 것이라는 당사자의 의사는 실재(實在)하는 의사가 아니라 법률행위의 일부분이 무효임을 법률행위 당시에 알
하게 빈번한 회전매매를 함으로써 고객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에는 불법행위가 된다.대판 1996.8.23 [94다38199]²) 제3자가 그 권한이 있다고 믿을 만한 ‘정당한 사유 ... , 대리권소멸후의 표현대리라 함은 이전에는 대리권을 가지고 있었으나 대리행위를 할 때는 대리권이 소명한 경우의 표현대리를 말한다.우리나라의 다수설에 의하면 표현대리에는 마치 유권대리 ... 자로서의 주의의무(충실의무)를 다하여야 할 것이고 이를 위반하여 증권회사가 포괄적 일임매매약정을 하였음을 기화로 고객의 이익을 무시하고 회사의 영업실적만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