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 적출(절제술):- 개두술을 시행하여 뇌동정맥 기형을 제거하는 대표적인 수술 방법- 수술이 가능한 경우(수술 후 후유증 발생의 가능성이 적은 경우)로 판단되는 경우 실시하는 방법ㄷ ... , 학습, 언어능력, 판단력, 성격, 기억 저장 등의 기능을 하며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으로 구분②사이뇌: 대뇌겉질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며 시상과 시상하부로 구성③뇌줄기 ... 신경은 측두엽, 2번 뇌신경은 후두엽 3~12번 뇌신경은 뇌줄기에서 나옴 1,2,8번 뇌신경은 감각신경, 3,4,6,11,12번 뇌신경은 운동신경, 5.7.9.10 혼합신경)(2
다.isometric contraction : 등척성수축. 근육이 전혀 수축되지 않고, 강하게 당겨지기만 하는 일을 말한다. 적출한 골격근으로 이 장력의 발생을 기록해 보면 등장력성 수축 ... 하게 포착할 수 있다. 모든 관절에 적용되는데, 무릎 관절에 특히 이용률이 높다.eletromyography : 근전도. 근육의 활동전위(活動電位)를 기록한 곡선. 실용적으로는 인체 ... cast : 척추골절의 고정이나 척추융합술 후, 또는 척추골 손상의 치유를 위하여 사용 된다.척추 수술 전에 안정을 목적으로 일시적으로 적용하기도 한다. 용도에 따라 Minerva
다. 후두적출술은 일차 수술에는 거의 없지만, 중앙 경부에 재할한 경우에 불가피하다.? 수술 후 고분화 암종의 추적 관찰수술 후 갑상선 호르몬을 투여하는 것은 갑상선 자극 호르몬 ... 양다. 그래서 아전절제술이나 근전절제술을 주장하는 저자들이 많다. 수술 범위는 반드시 수술 전 갑상선 초음파 검사를 통한 철저한 검사와 술중 반대 엽 및 경부의 림프절 전이 유무 ... 를 잘 촉진한 후 결정하여야 한다.고위험군에서는 전절제술이나 근전절제술을 시행하며, 저위험군에서는 반대 엽의 병변이 술전 초음파 검사나 술중 촉진에서도 관찰되지 않는 작은 병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