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서 민중이 직접 그런 권위주의를 조금씩 허물어 나갔다. 문화적으로 자율성과 공동체 의식에 대한 관심이 강한 후기물질주의자들이 그런 운동에 참여하는 경향이 있다. 기존 기관 ... 를 평가행동하도록 노력한다. 오랫동안 안정이 지속되면 정반대의 현상이 일어난다. 후기물질주의자들의 자기표현과 자기실현에 대한 강조가 점점 더 중심적인 가치로 자리잡는다. 국민들은 점점 ... 할 수 있으면서 정부 특유의 권위주의적 태도도 많이 감소하였다. 이처럼 후기물질주의자들은 권위를 존중하는 것을 거부한다. 우리나라는 예외적이었으나 대부분의 다른 나라
로는(397면)- 정부의 능력에 대한 지나치게 커진 기대감(특히 2차대전 이후)- 인식형성에 끼치는 언론의 변화된 역할- 권위에 도전하는 자유주의의 물결과 후기물질주의가치관의 만연 ... 사람 모두 정부에 대한 불신이 같았음-결정적인 증거 부족- 사회적 관점: 현대사회에 등장한 몰가치적 현상과 개인주의적 현상- 정부의 권위주의적 통치에 도전하고 정부의 행동 ... 한 성곽 가능- 공공선 이론(사회복지 극대화 등)- 무정부주의적 관점; 전혀 통치하지 않는 정부가 가장 훌륭한 정부- 정부역할 축 소 및 국가기능 축소론0 자유민주주의 표방 국가 국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