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세 7주차『파놉티콘』(홍성욱저)Ⅰ. 작가소개? 홍성욱 (1961~)1984년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한 뒤 같은 학교에서 과학사 및 과학철학을 공부했다. 1986년에 석사 ... 는 과정에서 생각이 바뀌었다. 그리하여 토론토 대학에서 박사 후 과정을 거친 후, 1995년 토론토 대학의 과학기술사철학과의 조교수가 되었다. 2000년에는 종신재직권을 받고 종신교수 ... 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을 시작했다. 1991년에 방문학생 자격으로 토론토 대학에서 공부하였다. 토론토에 갈 때에는 학위 논문을 끝내고 바로 한국으로 돌아올 생각이었으나 논문을 쓰
, 홍성욱저, 책세상 출판, 들어가는 말 인용, 발췌, 수정)작가 - 홍성욱과학사와 기술사를 함께 연구하고 있는 그는, 과학사 쪽으로는 19세기 물리학사를 주로 연구하고 있으며, 기술 ... ] [네트워크 혁명] (근간)을 썼고, [남성의 과학을 넘어서] [2001 싸이버스페이스 오디쎄이] 를 공동 편집했다. 2001년 가을부터 1년간 서울대학에 초빙교수로 와서 오랜만
부터 정보화 사회로 발전하면서 여성이 공대로 진학할 기회가 넓어짐 대학 입시 제도의 변화는 공대에 진학하는 여학생의 수적증가를 가져옴 과학교수 혹은 교사의 이미지에서 점차 과학연구자 ... . 2006. 『 여성 , 과학의 중심에 서다 』. 양문 오조영란 ∙ 홍성욱 . 1999. 『 남성의 과학을 넘어서 』. 창작과 비평사 론다 쉬빈저 . 2007. 『 두뇌는 평등 ... 과 여성을 연관시킬 자료가 별로 없었음 )여성 과학자는 왜 극소수인가 ①일반론 과거 , 남성에 비해 과학교육의 기회가 전무하였고 여성이 다닐 수 있는 대학 , 기관이 없었음 역사기록
을 새로운 정신장애로 인정받는 데 성공했다. 홍성욱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인터넷 사용이 줄어들텐데 인터넷 중독이라는 범주는 너무 성급한 것이 아닌가하고 주장하였다.‘인터넷 중독’이 ... 고, 자신이 하는 일을 명확히 알고 있으며, 그들은 벽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벽을 허물어내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탭스콧은 아이들의 멀티태스킹은 집중력을 저하시키기는커녕 이런 ... 는 기회를 주면서 N세대에 귀를 기울여야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한국에는 N세대가 없다고 하였다. 그 이유를 한양대 교수 윤영민이 제시하였다.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이 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