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였습니다. 그 뒤 1668년 과거에 응시했으나 낙방합니다.학문 연구에 전념하며 1652년(효종 3)에는 형 이휘일의 《홍범연의(洪範衍義)》 저술에 참여하였습니다. 1666년(현종 7) 영남 ... 하그의 큰 아버지인 이휘일으로부터 시작되어 이현일을 거쳐 홍범연의를 완성시켰습니다.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1711~1781)리기의 분개설과 혼륜설은 두가지가 아니라 하나
날 이현일(李玄逸)이 《홍범연의洪範衍義》를 저술한 것에 선행한다고 할 수 있다.그는 주희가 《대학》과 《중용》을 표출시킨 의도를 계승하면서도 《대학》과 《중용》의 정신을 수기 ... 求仁錄》(1550)·《대학장구보유 大學章句補遺》(1549)·《중용구경연의 中庸九經衍義》(1553)·《봉선잡의 奉先雜儀》(1550) 등이다. 《구인록》(4권)은 유교경전의 핵심개념 ... 는 주희의 한 글자 한 구절을 금과옥조로 삼아 존숭하는 후기의 학문태도에 비하여 매우 창의적인 학문정신을 보여준다.《중용구경연의》(29권)는 그의 미완성 절필이다. 이 저술도 주희
은 진덕수(眞德秀)의 《대학연의》가 대학체계를 통치원리의 구체적 실현방법에 응용하였던 것에 상응한 저술이요, 뒷날 이현일(李玄逸)이 《홍범연의洪範衍義》를 저술한 것에 선행한다고 할 ... 을 금과옥조로 삼아 존숭하는 후기의 학문태도에 비하여 매우 창의적인 학문정신을 보여준다.《중용구경연의》(29권)는 그의 미완성 절필이다. 이 저술도 주희의 《중용장구》나 《중용혹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