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와 한이라는 양계통의 종족의 특수한 역사적 조건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호한분치제제는 한족의 통치를 한족에게만 맡긴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점이며 전조가 후조와의 경쟁 ... 을 겪게 된다. 이러한 특성은 유총의 호한분치 정책에 잘 드러나 있다. 이러한 호한분치정책은 오호십육국이 거의 공통된 통치형태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 같다. 이러한 사실은 당시 ... ‘영가의 상란’이라 지칭되는 오호·북조시대는 중국사상 미증유의 한족참살을 겪어야만 했으며 호한관계는 이 시대 역사의 구성에 중대한 의미를 지닐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호한체제
있는 방안이기도 하고, 이후 호족제왕들이 추구한 방향이기도 하다.새로 탄생한 흉노국가인 한에는 흉노의 세계와 한의 세계가 양립할 수 밖에 없다. 이점은 호한분치정책을 통해 분명히 ... 나타난다. 호한분치정책은 흉노계열의 국가에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오호십육국의 거의 공통된 통치형태로 볼 수 있다. 호한분치정책은 당시 사회가 호한 양계통의 종족이 융합되지 않 ... 고 병립하고 있었던 것을 반영한다. 호한분치체제는 한족 세계의 통치를 한족에게 모두 맡긴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전조시대는 선우제와 함께 중국식 관제를 채택했지만 등용된 자
때 기존에 거주하고 있던 한인과 서북방에서 내려온 호족사이에 정치체제나 제도, 문화체제 등의 모든 갈등과 사회 현상, 융합 등을 호한제제)라고 한다. 이러한 호한체제에 따라 호족 ... 를 달성하기 위해 호한분치정책을 시행하고 중국적 백관제를 채용하는 등의 노력을 하였다. 그러나 당시 한인관료는 수적으로 극히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한족의 활약자체는 미미할 수 ... - 호한체제의 전개와 그 구조 -1. 호한체제의 등장서진 말기 316년 ‘영가의 상란’으로 북조에는 저, 갈, 강, 선비, 흉노의 5호에 의한 십육국 시대가 남조에는 동진, 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