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석균(扈錫均)의 時調♠서론시조 이전의 모든 시형(詩型)은 시조의 발생을 위한 준비이고, 시조 이래의 시형들은 시조에서 분파한 형식이라 할 만하다. 민족생리에서 우러나오지 않 ... 의 무겁고 힘겨운 생활에서 일탈해 자연과 하나가 되어 진정한 삶을 누려보고자 하는 간절한 소망이 담겨져 있다.지금까지 호석균의 시조(時調)17수를 순전히 나만의 소견으로 수박 겉 ... 은 시형들은 일시적으로 각광을 받았다 하더라도 곧 도태되게 마련이었다. 그러나 시조만은 700~800년을 두고 민족의 얼과 정서를 담아 줄기차게 오늘에 이른 유일의 민족문학이라 볼 수
매화① 이색 ② 안민영 ③ 권섭 ④ 기생매화 ⑤ 이신의 ⑥ 호석균 ⑦ 작자미상매화는 온갖 꽃이 미처 피기도 전에 맨 먼저 피어나서 봄소식을 가장 먼저 알려 주고 특히 추위를 이기 ... 가 다른 나무보다도 뛰어난 여러 모습을 찬미한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또한 매화는 그 청초한 자태와 향기로 인해 아름다운 여인에 비유되었다. 시조에서는 우리 선인들의 드높은 기개 ... 다. 70세인 고종 22년(1885)에 안경지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시조가 있어서 이 시절까지는 활동한 것을 알 수 있다. ‘금옥총부’를 비롯하여 ‘가곡원류’, ‘시조유취’ 등
에 장원, 동북면도지휘사 한방신(韓邦信)의 종사관으로 여진족(女眞族) 토벌에 참가하고 1364년 전보도감판관(典寶都監判官)이 되었다. 1376년(우왕 2) 성균대사성(成均大司成 ... )을 세워군사면에도 깊이 관여하여 국운을 바로잡으려 했으나 신흥세력인 이성계 일파의 손에 최후를 맞이하였다. 시문에도 뛰어나 시조 외에 많은 한시가 전해지며 서화에도 뛰어났다. 고려 삼 ... 穡)은 포은의 학설은 횡설수설 하는 것 같으면서도 이치에 맞지 않는 것이 없다 하면서, 그를「동방 성리학의 시조」로 추대하였다. 포은은 외교가로서도 명성을 떨쳤다. 왜국과의 교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