었고 자발적으로 그의 실험체가 되어 신체의 부분들을 도려낸다. 대중들의 전문성에 대한 맹신과 의학에 대한 무조건적인 신뢰는 한 사람의 잘못된 신념과 만나 수많은 사람들의 신체의 일부 ... 의학계의 저명한 전문가들은 그동안 자신이 쌓아온 권위에 치명적인 손상이나 아직 남아있는 치유의 가능성에 대한 탐구심으로 인하여 사실이 대중들에게 알려지지 않도록 조치한다. 특히 당시 ... 정신의학에서 높은 지위를 유지하고 있던 아돌프 마이어는 그의 제자인 그린에이커가 조사한 코튼의 연구 성과에 대한 부정적인 결과에 대하여 진실이 어떤 것인지 알고 있으면서도 그녀
면 타인의 생각을 읽어 그들의 약점을 이용해 공포에 질리게 할 수 있는 초인적인 능력이 있었기 때문이다.초반까지 이 책은 현대정신의학에 기반을 둔 메디컬류의 의학소설이 아닌가 생각 ... 된다. 거기서 ‘조’라는 병명을 알 수 없이 오랫동안 입원중인 환자의 담당의가 된다.하지만, 오랫동안 입원된 ‘조’를 담당하던 의사나 간호사들은 미쳤거나 자살에 이르는 극단적인 삶을 선택 ... ‘그 놈’의 진실이 드러나는 장면이다. 어느정도 ‘조’의 실체는 사람의 형상을 한 악마일 것이라고 어렴풋이 추측은 했었다.‘그 놈’은 그를 맡았던 의사, 간호사들의 사례를 보
공포증’ 이라고나 할까? 역사책만 나오면 허탈한 웃음부터 나온다. 이런 내가, 이 ‘현대정신의학잔혹사’ 라는 책을 선택했다는 것은 참 아이러니하다. 책 표지부터 무서운 그림이 ... 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의 제목 밑에는 작은 글씨로 ‘현대의술과 과대망상증에 관한 슬픈 이야기’ 라고 나와 있다. 이걸 보면 알 수 있듯이, 이 책에는 현대 정신의학의 내면이 숨겨져 ...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수업시간에 정신의학의 역사에 대해 간단하게 배웠을 때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환자들을 수용소에 가두고, 마치 동물원의 동물을 보는 것처럼 ‘관람객’에게 입장
적 원인론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의사와 환자간의 관계가 치료에 아주 중요하다는 점을 주장하였으며, 이것은 현대정신치료의 모태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Davision and Neal ... 전문직간의 팀 접근5) 치료의 지속성6) 지역주민 참여7) 정신보건사업의 평가 연구8) 예방9) 정신보건 자문10) 보건의료와 사회복지서비스의 연결1. 지역사회정신보건의 개념및 목적 ... 사회 자연적이라고 보았고 따라서 정신질환의 치료는 무당이 아닌 의사가 맡아야 한다고 생각하였다.비록 히포크라테스의 의학적 모형이 그 이전의 것보다 진일보하여 치료에 영향을 미쳤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