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의 성질이 낙폭하고 역이 과중하였기 때문이라고 하였다.)셋째는 조선의 항왜 우대책을 들 수 있다.정원이 비변사가 항왜(降倭)를 공초(供招)한 것으로 아뢰기를,“신이 술과 안주 ... 목 차Ⅰ.들어가며Ⅱ.본문1. 사야가(沙也可) 김충선(金忠善)2. 항왜(降倭)의 투항3. 항왜(降倭)의 활용Ⅲ.맺으며참고자료 및 문헌Ⅰ.들어가며조선 사회를 통째로 뒤흔들었던 임진 ... )·항왜 동지(同知) 요질기(要叱其)·항왜 첨지(僉知) 사야가(沙也加)·항왜 염지(念之)는 각기 한 급씩을 베었습니다. 그리고 왜기(倭旗) 홍백·흑백의 크고 작은 것 3면(面)과 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