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류 모델, 월류제 상의 월류량 산정 모델 및 제내지 홍수범람 모델을 연계한 통합모형을 개발 하였다. 이상에서 개발된 연계모형을 가상하도 및 실제하도에 적용하여 월류제가 갖 ... 본 연구의 목적은 하천의 홍수저감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하천변 저류지의 홍수저감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모형의 개발에 있다. 하천에 홍수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하천변 저류지는 하천 ... 의 홍수첨두 일부를 분담하는 기능을 갖으며, 이는 제방의 일부를 낮춘 월류제를 통한 범람으로 가능하게 되며, 또한 범람된 물은 저류지 내에서 저류 하게 된다. 이러한 저류지가 갖는 홍수
본 연구에서는 제내지와 하도를 연계한 하천유역의 홍수유출해석기법을 개발하였다. 하천변 저지대를 저류지역(Storage Area)으로 구성하고 자연배수시설과 배수펌프장을 모의할 수 ... 하는 저류량과 침수위을 결정하였다. 또한, 모형의 하도와 저류지간에 측방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상단부에 위어를 설치하여 하도의 홍수위가 제방고 보다 높을 경우 발생하는 외수월류를 모의 ... 함으로써 침수지역을 식별하고 침수심별로 상이한 형태의 시각정보로 변환하여 시간대별, 침수심별 예상침수지도를 작성하였다. 본 모형의 적용 결과 시간대별로 하천의 홍수위와 유역에서 하도
.............................................................................................3국내·외 홍수기 강우-유출모형과 저수지 연계운영 모형...................................6국외의 홍수예경보 체계 ... 이 적용되며 홍수통제소에 설치 운영하고 있다. 이 방법은 계산절차가 간편하며 홍수유출의 비선형성을 고려해주는 방법이므로 선형모형보다 합리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저류함수법은 다음과 같 ... 은 비선형 운동방정식과 연속방정식을 기본으로 유역 및 하도에서의 저류함수를 구성하여 홍수유출량은 산정한다.I - O = dS /dtS = K O P본 방법의 매개변수중 저류상수(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