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술과 과정진술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의식세계의 변모를 선명히 보여준 崔奇男의 「拙翁傳」, 일반 자전과 달리 1인칭 시점에서 자기 일생을 직서한 柳最鎭의 「自序傳」, 필기잡록형 자전 ... 본고는 창작 주체에 주목하여 조선 후기 자전문학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조선 후기 중인층의 자전문학을 대상으로 그 서술적 특징을 살폈다.조선시대 중인층은 조선 후기 ... 에서 중인층 문인들은 자전 창작을 통해 자기 존재 가치를 스스로 증명하면서 불만과 소외감을 해소하고자 하였다.중인층 자전문학의 서술적 특징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자전문학의 대표
은 것인데, 그 글들은 주로 설화(說話), 전(傳), 필기(筆記) 등이다. 그 중에는 재미있는 단편(短篇)도 적지 않다. 즉 윤리 교육 외에 문학적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것을 선정해 ... 자마자 조선어에 능통한 사람 밑에 가 학습을 한 다음, 이듬해 36세시에 조선에 다시 건너가 꼭 2년간 머무르며 교린수지(交隣須知) 1책?유년공부(酉年工夫) 1책?을유잡록(乙酉雜錄 ... 으로, 독실한 천주교 신자로서 리델 신부를 뒷바라지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조선어문법 과 한불자전(韓佛字典) 은 일본 횡빈(橫濱)에서 인쇄되었는데, 이 때 사용한 한글 활자의 자모(字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