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탐라순력도 활성화 발안3. 결론4. 출처 및 참고문헌1. 서론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란 제주의 옛 이름인 탐라(耽羅)와 순력(巡歷)이 합쳐진 말로, 제주를 돌아다니며 보고 겪 ... 제주역사문화스토리텔링탐라순력도 콘텐츠 활용 사례와 활성화 발안제주역사문화스토리텔링탐라순력도 콘텐츠 활용 사례와 활성화 발안목차1. 서론2. 본론(1) 탐라순력도 콘텐츠 활용 사례 ... 를 22일에 걸쳐 정기 순력하며 본 장면들을 화공 김남길(金南吉)을 시켜 그리도록 하였고, 그리하여 이듬해인 1703년 봄에 완성된 작품이 탐라순력도이다. 화첩의 크기는 가로 36.4
제주역사문화스토리텔링목차Ⅰ. 머리말Ⅱ. 탐라순력도와 제주역사Ⅲ. 탐라순력도와 원도심 활용방안Ⅳ. 맺음말Ⅰ. 머리말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는 이형상(李衡祥) 목사가 1702년에 제주 ... 목사로 부임한 뒤, 그 해 가을에 제주목과 정의현, 대정현 등 세 고을을 순력(巡歷)하고, 제주 방어의 형지와 군민, 풍속 따위의 상황을 화공 김남길을 통해 40개 화폭에 그리 ... 게 하고, 중요한 내용을 오씨 어른에게 글로 쓰게 하고, 그에 대한 서문을 덧붙여 수록한 화첩(畵帖) 또는 도첩(圖帖)이다.탐라순력도에 수록되어 있는 행사그림들은 18세기 초 제주도
에축조하였으나 역시 소규모이다. 이 5층 석탑은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하여 제주의 고려사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역사적, 예술적 가치가 아주 높게 평가 받고 있다.③ 탐라순력도(耽羅巡歷 ... 그와 관련된 편지글, 임금이 내린 교지 등의 고문서와 인각, 기타 유품들이 포함되어 있다.탐라순력도는 이형상이 제주 목사로 부임하여 숙종 28년 (1702) 도내의 각 고을